기사 (3건) | 도민春秋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인구 50명 쟁탈전’이 주는 교훈 ‘인구 50명 쟁탈전’이 주는 교훈 2년 전, 인구 50만 명을 조금 넘긴 포항시는 2030년 계획인구를 70만 명으로 잡았다. 또 70만 인구를 위한 주택 보급률을 110%로 계산해 20만호 주택공급 계획을 세우는 등 도시 발전에 대한 장밋빛 미래를 그려나가고 있었다.그로부터 2년이 지난 지금, 포항은 오히려 인구 50만 명 이하로 추락해 시를 비롯한 각계에서 인구증가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한 번 빠져나간 인구는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인구감소로 인해 미분양도 쌓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일찍이 철강을 위시해 첨단·해양관광산업이 발달해 경북 도민春秋 | 모용복국장 | 2023-06-04 18:03 조선통신사와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 조선통신사와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 1590년 3월, 조선통신사 정사에 임명된 황윤길과 부사 김성일은 수행원 200여명을 거느리고 일본으로 향했다. 조선 14대 임금인 선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각처에서 활약하던 무사들을 정리하고 중앙집권화를 이뤘다는 소식이 들리자 정세를 파악하려 통신사를 파견했다. 이들은 1년간 일본에 체류하면서 왜(倭)의 동향을 살핀 뒤 이듬해 귀국해 선조에게 서로 다른 보고를 했다.서인에 속한 황윤길은 반드시 왜군의 침입이 있을 것이므로 방비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한 반면, 동인에 속한 김성일은 도요토미의 인물됨이 보잘 것 없고 군사준비가 돼 있 도민春秋 | 모용복국장 | 2023-05-25 17:36 광개토대왕비(碑) 광개토대왕비(碑) 2017년 9월, 일주일간 일정으로 중국 동북 3성에 취재를 간 적이 있다. 우리 한민족, 그중에서도 고구려 역사 지우기에 나선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 현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당시는 중국의 동북공정이 일대일로(一帶一路)로 이어지면서 동북부지역 역사왜곡이 극성을 부리던 시기였다.단동(丹東)에서 1박을 하고 고구려 첫 수도 졸본성(卒本城)을 거쳐 3일 차 길림성 통화시 집안(集安)에 도착했다. 이 곳은 우리 한민족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복군주인 광개토대왕이 잠든 곳이다. 광개토대왕비(碑)를 보기 위해 매표소에서 입 도민春秋 | 모용복국장 | 2023-05-17 17:35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