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파식적, 국가적 재앙에 대한 신라인의 해법
  • 경북도민일보
만파식적, 국가적 재앙에 대한 신라인의 해법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15.0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정옥 위덕대 자율전공학부 교수
[경북도민일보] 1145년에 편찬 간행된 삼국사기에는 총 930여 회의 자연변이의 기록이 있다고 한다. 이를 다시 600여회의 천재와 330여회의 지변으로 구분하고 있다. 혜성·유성·일식·가뭄·홍수 등은 천재이고, 지진·화재 등은 지변으로 구분된다.
 윤순옥, 황상일의 논문 ‘삼국사기를 통해 본 한국 고대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는 이들 천재지변과 인간 생활의 상호성에 관한 고찰을 상세히 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삼국사기 신라본기를 통하여 고대(BC 57~AD 935)에 발생한 가뭄, 홍수, 전염병, 메뚜기의 내습 그리고 지진 등 자연재해 기록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각각 인간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 논문에 의하면 농업생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가뭄이며, 홍수의 영향은 미약하다. 고대에는 곡저평야에 경작지를 만들며 하천 범람으로부터 안전한 공간에 도시와 마을을 조성하였으므로 대부분의 홍수가 파괴적인 재해는 아니다. 메뚜기 떼는 가뭄이 발생한 시기에 출현하는 빈도가 높다. 고대의 전염병은 기근, 홍수, 가뭄과 관계없이 발생한다. 당시에는 수인성 전염병이 주기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삼국통일 이후 도시화로 인해 수도인 서라벌에 인구가 집중되면서 전염병의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신라 천 년 동안의 가뭄 현상은 두 번의 주기가 인정되며 대략 500년의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다는 결론은 매우 흥미롭다.
 삼국사기 등 고대의 정확한 천재지변의 기록은 고대과학의 발달을 가져와 일식(14.8년)·가뭄(9.2년)·지진(10.3년)등의 주기 산출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논문을 본 적도 있다. 실제로 부경대 변희룡 교수는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세 문헌 중에서 가뭄에 대한 기록들의 빈도수를 분석하여 가뭄주기설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6년, 12년, 38년 그리고 124년의 총 4단계의 주기가 있고 마지막 주기인 124년은 극한가뭄의 주기에 해당된다. 올해는 38년 가뭄의 정점기이고 124년 주기의 시작기에 해당되는 해라는 주장이다. 가뭄주기설로 본다면 올해 2015년은 최악의 가뭄을 맞을 수밖에 없는 해인 셈이다.
 전염병은 또 어떤가. 고대 신라에서도 도시의 인구집중화가 전염병의 지속적 증가 원인이었듯이 현재 대한민국을 공포로 내모는 전염병 중동호흡기증후군 역시 인구집중이 과밀화된 수도권에서 비롯되었고 환자 발생의 빈도수도 높다는 면에서는 고대 신라의 상황과 놀라우리만치 흡사하다.
 다만 이러한 가뭄과 같은 천재나 전염병과 같은 재앙에 대처하는 태도는 과거와 현재가 판이하다. 신라인들은 이러한 천재지변 중에서도 혜성·일식·지진·가뭄·용 등은 정치적인 면에 큰 영향을 주는 조짐으로 해석했고 특정 사건에 대한 예고라고 판단했고 믿었다. 따라서 지배층에게는 그에 대응하는 상당히 정치적이고도 현실적인 대책이 요구되었다. 또는 인간으로서 어찌할 수 없는 천재지변이나 전염병을 물리치고자 행사하는 상징적이고도 종교적인 제의 등이 시행되기도 했다.
 그런데 여기 전혀 새로운 해법이 하나 있었다. 신라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위하여 감은사를 짓고 추모하는데, 죽어서 동해바다의 용이 된 문무왕과 하늘의 신이 된 김유신이 합심하여 동해의 한 섬에 대나무를 보냈다. 이 대나무를 베어서 피리를 만들어 부니, 외적은 물러나고, 질병이 사라졌으며, 가물 때는 비가 오고, 비가 올 땐 날이 개는 등 나라의 모든 걱정 근심이 사라져 버렸다. 바로 만파식적 설화이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흩어져 있던 백제와 고구려 유민의 민심을 통합해 나라의 안정을 꾀하려 했던 호국 사상과 모든 정치적 불안이 진정되고 평화가 오기를 소망하는 신라인들의 염원이 담겨 있다는 설화이다. 
 그 귀한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었다. 죽창을 만드는 대신 피리를 만들어 불었다. 국가가 위기에 처하고 민심이 흉흉할 때 피리를 분다?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내고 전염병이 돌면 초월적 존재의 힘을 비는 것이 당연했을 법한데 천존고에 모셔둔 피리를 꺼내어 불면 재앙이 사라졌다는 믿음은 무엇일까. 백성의 신뢰를 얻고 전국민적 위기를 타개해주는 피리의 위력은 무엇일까. 모진 가뭄과 유례없는 전염병의 공포로부터 우리 대한민국을 구해줄 만파식적은 없는가. 서로 불신하고 불통하고 남 탓 일삼는 이들을 하나로 모아 피리소리로 잠재울 만만파파식적은 진정 없을 것인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