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교육 부활이 사대주의(事大主義)라니?
  • 김용언
한자교육 부활이 사대주의(事大主義)라니?
  • 김용언
  • 승인 2015.0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북도민일보 = 김용언] 교육부가 2018년부터 초등학교 모든 교과서에 한자를 함께 적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한자교육부활’이다. 그러자 찬반 논쟁이 뜨겁다. 찬반 견해차가 워낙 커 한자교육이 교육부 계획대로 시행될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찬성론은 “우리말의 70% 이상이 한자어다, 한자어를 한자로 적지 않으면 뜻을 제대로 알 수 없으므로 한글로만 생활하는 국민 대다수가 사실은 문맹이다” “특히 교과서 언어의 대부분이 한자어로 되어 있다. 한자어 어휘력이 높을수록 우리말 낱말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초등학교 때 우리말과 글을 제대로 가르쳐 우리 역사와 문화를 올바로 알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반면 반대쪽은 “한자교육부활은 어린이들에게 한자 멍에를 다시 씌우려는 반역사적 행위” “한자교육부활은 사교육을 조장해 어린 학생들에게 학습 부담을 늘리는 반교육적인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사교육비를 걸고 넘어져 학부모의 동조를 얻겠다는 속셈이다.
 한자교육 부활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정부수립 후 이승만 정부는 1948년 10월 9일 ‘한글전용에관한법률’을 제정해 1965년까지 초등 1~3학년은 한글전용을, 4~6학년부터 고교까지는 국한문을 병용해 왔다. 박정희정권은 1970년 초등학교 한자교육금지, 중·고교는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를 선정해 국한문 병용 또는 국한문혼용교육을 실시해 왔다. 김대중정부는 공용문서에 한자병기를 2005년부터는 수능에서 제 2외국어와 함께 선택과목으로 채택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한자교육은 지금도 하고는 있다. 중학교 95%에서는 한문을 가르치고 방과후에도 한문을 배운다. 2009년 초등학교 정규 과목인 ‘창의적 체험활동’에 한자 과목이 추가됐다. 사실상 절반 이상의 초등학교에서 한자를 배우고 있다.

 과연 한자교육 부활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우리는 한자문화권에 살고 있다. 중국과 일본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등 동남아도 한자문화권이다. 이성호 중앙대학교 교수는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권에서는 한자가 다 통해 쓸 줄 알면 굉장히 도움이 된다”며 “국가경쟁력이 주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이 시점에 영어 하나만으로 통하는 시대는 끝나간다”고 말했다.
 조형곤 21세기 미래교육연합 대표는 “초등학교 때 (한자를) 전혀 안 해놓고 중학교에 올라가 배우는 것보다 기본한자 300자 정도는 미리 배워 가는 게 학습부담이나 사교육비가 훨씬 경감되지 않겠나”며 “생활한자가 1000자 정도인데 중학교 때 500자 필요하다 하면 200자만 더 배우면 되고, 고등학교 때 500자 배우면 천자문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교육부 방침이 초등학교 고학년 교과서에 한자병기를 300~500자 한다는 건데 이건 1년에 50자, 일주일에 한두 자다. 이 정도 배우는데 사교육비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미 다른 과목에 사교육비를 많이 투자하는 사람들”이라며 “그 사람들이 한자로 넘어올 뿐 사교육이 새롭게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원로 언론인 조갑제 씨는 세계적인 뇌(腦)과학자인 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 조장희 소장의 말을 소개했다. “40년 넘게 해외에 있다 들어왔더니 한자를 안 써 한국인이 문맹(文盲)이 되어 있더라”는 것이다. “서로 얘기들은 하지만 뜻을 전혀 몰라요. 뜻을 모르니 응용을 못해요. 왜 한자를 안 쓸까요. 일본 식민지였다는 콤플렉스가 작용하지 않았을까요? 하지만 한자는 라틴어처럼 중국 글자가 아니라 동양 글자입니다. 과학기술 서적은 한문을 안 쓰면 이해를 못해요”라는 게 조 소장의 결론이다. 조 소장은 한자교육과 뇌의 활성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뇌 영상을 찍어 보니, 한글로 읽을 때보다 한자로 읽을 때가 뇌의 많은 부분에서 활성화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한자교육부활을 둘러싼 논쟁은 무의미하다. 우리말의 절반 이상이 한자어이기 때문이다. 한자가 없으면 그 뜻을 알 수 없다는 얘기다. 될 수 있으면 어릴 때부터 한자를 익히도록 어른들이 도와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