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단골 새마을금고 강도 특단대책 서둘라
  • 경북도민일보
서민 단골 새마을금고 강도 특단대책 서둘라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18.08.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북도민일보] 지난 7일 포항의 한 새마을금고에 강도(强盜)가 들었다. 지난 6월부터 3개월 사이 경북에서만 벌써 3번째다. 은행강도 사건 발생도 놀라운 일인데 그보다 더욱 놀라운 것은 강도가 털어간 돈 액수가 460만원이었다는 사실이다. 은행강도가 훔친 돈 치고는 너무나 적은 금액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가족의 설득 끝에 범행 당일 밤 늦게 자수한 강도는 경찰 조사에서 “생활고로 범행을 저질렀으며, 빼앗은 돈은 빚을 갚는데 다 썼다”고 진술했다. ‘오죽 빚 독촉에 시달렸으면 돈을 훔친 당일 빚 탕감에 몽땅 다 써버렸을까’하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범죄행위가 정당화 되거나 용서될 수는 없다.
지난달 19일 영주의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은행강도사건도 마찬가지로 생활고 못이겨 저지른 범행이었다. 식당 운영 등을 하다 1억원의 빚을 진 범인은 훔친 돈 4380만원 둥 3720만원을 채무 변제에 썼다. 지난 6월 영천의 한 새마을금에서 현금 2000만원 빼앗아 도주했다 6시간 만에 붙잡힌 경우도 빚 독촉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처럼 새마을금고는 최근 생활고로 인한 강도범들의 집중 타깃이 되고 있다. 올 들어 도내 영천, 영주, 포항을 비롯한 전국 5곳에서 발생한 새마을금고 은행강도 대부분이 생활고로 인한 단독범의 소행이었다.
이들은 주로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외곽지역에 위치한 새마을금고를 범행대상으로 노렸다. 소규모로 운영되는 탓에 근무인원은 몇 명에 불과하며 청원경찰 또한 없다. 따라서 비록 혼자라도 마음만 먹으면 범행에 성공할 수 있다는 나쁜 기대감이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치안당국에 따르면 은행강도는 백프로 붙잡힌다고 한다. 아무리 영세한 점포라하더라도 CCTV 정도는 설치돼 있으며, 사회적 이목이 집중되는 까닭에 경찰이 끝까지 추적해 붙잡기 때문이다.
강도범들도 이러한 사실을 모를 리 없다. 하지만 생활고와 빚 독촉에 시달리다보면 이성적인 판단이 흐려져 보안이 허술한 영세 금고에 대한 범행유혹을 뿌리치지 못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아무리 영세한 새마을금고라 할지라도 돈을 다루는 금융기관인 이상 달랑 직원 몇 명에 청원경찰도 없이 영업을 한다는 것은 안될 일이다. 건물도 일반 점포와 별반 다를 게 없다. 현재 경북에는 324곳의 새마을금고가 영업 중이며 이 중 3분의 2에 달하는 소규모 영업장이 근무인원이 2~3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도심지역에 위치한 규모가 큰 금고는 직원 수가 많고 방문객들도 많은 까닭에 생활고로 인한 단독범들이 언감생심(焉敢生心)이겠지만 인적 드문 외곽지역에 위치한 이러한 소규모 점포의 경우엔 쉬이 범행 표적이 될 수 있는 까닭에 반드시 보안인력을 배치시키거나 보안시설을 갖춰야 한다.
소규모 금고가 보안인력을 배치하지 못하는 것은 적은 수익으로 경비인력의 인건비를 충당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이유다. 또 강도사건이 발생해도 보험에 가입돼 있어 물질적 피해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새마을금고의 주 고객은 서민이다. 요즘 어지간한 마을에는 새마을금고가 있게 마련이다. 서민들은 멀리 떨어져 있는 도심의 은행보다 집 가까이에 있는 금고를 주로 찾는다. 시간과 경비를 들여 멀리 가지 않아서 좋고 직원들이 가족과 같이 반기고 친절하게 설명해주니 더욱 좋다. 그런데 이렇게 동네 사랑방 마실 가듯 편하게 찾던 금고에 어느날 강도가 들이닥쳤다면 서민들은 자연히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게 된다. 서민들의 방문이 줄어들면 금고의 수익이 감소될 것이며 그로 인해 종국에는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서민에게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새마을금고는 단순히 예금을 하고 대출을 해주는 곳이 아니라 주민과의 유대를 통해 지역사회를 살찌우고 지역발전에 이바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곳이다. 따라서 최근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강도사건 문제를 금고 자체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정부가 직접 나서 보안인력·시설개선 등 다각도의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