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진화에 구급물품 공급까지… ‘드론’ 진화
  • 뉴스1
산불 진화에 구급물품 공급까지… ‘드론’ 진화
  • 뉴스1
  • 승인 2018.11.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박영숙 세계미래보고서 2018 저자

[경북도민일보 = 뉴스1]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역사상 가장 치명적이고 파괴적인 산불 ‘캠프파이어’가 83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연락이 닿지 않아 생사가 불분명한 실종자는 563명이다.
 지난 8일 ‘뷰트카운티’에서 발화된 캠프파이어는 관목 지대에서 발생한 소규모 화재였다. 그러나 이내 초대형 화마로 모습을 바꾸며 서울 크기의 땅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극도로 건조한 환경과 강풍이 불을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결국 캠프파이어로 주택과 건물 등 1만9000여채가 전소됐고 통신관련 시설과 장비가 불탔다.
 화재 진압 골든타임은 5분이다. 물과 소화전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시간이다. 미국의 산불은 최초 발견부터 현장 출동까지 평균 30분이 걸린다. ‘무인항공기’(드론)는 30분의 시간을 2분으로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드론을 이용해 산불을 제압하자”는 의견은 2013년 처음 제기됐다. 특수 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된 ‘감시용 드론’이 항상 시찰하며 산불을 조기에 발견하고 화재 발견시 ‘화재 진압용 드론’을 띄워 불을 진압할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칼튼 페니패커 캘리포니아대학교 천체물리학 교수 연구팀은 위성 기술과 드론을 이용한 긴급 화재 추적장치(FUEGO)를 제안했다. 그는 센서, 드론, 영상인식, 인공지능(AI)과 같은 첨단 기술을 융합하는 것이 산불을 예방할 수 있는 파격적인 해결책이라고 단언했다.

 그러나 소방 드론은 화재진압용 살수 헬리콥터나 소방용 항공기의 진로와 통신을 방해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소방 항공기는 드론과 같은 높이의 상공에서 비행하기 때문에 소방 드론이 오히려 소탐대실(小貪大失)의 수단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시스템 구축비용도 문제다. 소방 드론 시스템의 주축이 되는 정지위성을 설치하는 비용만 3억달러(약 3396억원)가 든다. 그러나 미국 국방성은 “경제적으로 이득이 되는 것이 없다”는 이유로 도입을 유보하고 있다.
 그러나 소방드론기술이 마냥 비관적인 것은 아니다. 현재 미국 화재진압팀은 산불에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 다양한 크기의 드론이 소방관들에게 지형 조감도를 제공하고 소방관들에게 대피 장소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있다.
 미국 산림청에 따르면 2006년~2016년 사이에 산불 진화작업 중 발생한 사망사고의 24%가 항공기와 헬리콥터 사고로 인한 것이었다. 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된 감시용 드론은 연기를 뚫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풍향 센서와 기타 기상 변수를 이용해 산불의 확산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소형 드론은 계곡과 같은 좁은 공간을 통과할 수 있어 기존 항공기가 저공비행할 수 없는 지역도 처리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일부 지역 소방본부에서 드론을 이용해 산불을 감시하고 있다. 드론이 비행할 수 있는 최고 허용고도의 문제로 실용성이 있겠냐는 의견이 있었지만 지난 4월 국토교통부의 ‘항공안전법 시행규칙’개정안이 개정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소방 드론의 활약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화재뿐만 아니라 산 내에서 발생하는 응급상황에도 드론이 사용될 수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오는 12월부터 북한산과 태안해안 국립공원을 방문한 심정지 환자에게 심장충격기를 전달하고 경고 안내 방송을 하는 드론이 도입된다. 이 드론은 심정지 환자 발생시 신고한 사람의 위치확인시스템(GPS) 정보를 파악해 자동 심장충격기 등을 담은 응급구조상자를 전달하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