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 각자의 방
  • 경북도민일보
그들 각자의 방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19.0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성은의 사적인 LP

[경북도민일보] 래리 칼튼의 ‘Larry Calton’을 들으며

-Room335
예술가들에게는 그들 각자의 방이 있다. 일찍이 소설가 버지니아 울프는 가부장제와 성적 불평등에 맞서 ‘자기만의 방’(이미애 옮김, 민음사)을 구축했고 그 방 안에서 성찰하고 때론 우울해졌다. 영화감독 왕가위는 <화양연화> 속 두 주인공의 밀회장소인 호텔 2046호를 <2046>이라는 영화로 발전시킨다. 2046년이라는 배경은 홍콩의 정치, 입법, 사법체제 유예가 끝나고 중국체재가 시행되는 해이다. 전화번호판에서의 2046은 십자 성호의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아간다. 누군가의 신앙고백이 될 수도 있는 이 숫자는 홍콩의 영화감독이 만들어낸 방인 2046호에서 시작된다. 서귀포 초가삼간의 쪽방에서 우주를 그려본 이중섭은 시대적 몰이해와 고독과 가난의 비극 속에서도 예술혼을 불태운다. 이 방들은 그들의 사적인 공간이며 천장을 바라보며 등을 펼 수 있는 공간이고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숨을 쉴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인지도 모른다.
소설가 장 필립 투생에게 ‘욕조’(이재룡 옮김, 세계사)는 우주적 공간이자, 어머니의 자궁 안이자, 그만의 방이다. 폴 세잔의 아틀리에, 모네의 정원, 고흐의 침대, 로트렉의 물랑루즈 등 그들의 방에는 온통 그들의 삶이 녹아 있다. 그리고 여기, 미스터335라 불리는 거장의 방이 있다. 자신의 스튜디오에 좋아하는 기타의 넘버(Gibson ES-335)를 붙인 래리 칼튼의 방, 룸335는 재즈 안에서 가장 유명한 방이라는 것에 이견을 붙이기 힘들다.

-335호 방의 비밀
‘Room335’를 만난 건 학창시절이었다. 기타전공자들의 대표 입시곡으로 꼽히는 이 곡은 1978년에 그가 명명한 스튜디오의 이름을 달고 나왔다. 그에게 음악이란(예술이란) 다른 무엇도 아닌 그만의 방이었던 것이다. 그런 사정을 모르는 고등학교 1학년의 나는 선배들이 연습하는 곡의 제목을 힐끔 바라만 볼 뿐이었다. 지니, 무한궤도, X재팬, 메탈리카를 연습하는 동안에도 나의 눈길은 팝 적이면서도, 유려한 테크닉을 자랑할 수 있고, 경쾌한 울림을 선사할 수 있는 재즈 연주곡 ‘Room335’에 이끌렸다. 그 시절 보이밴드 기타리스트인 나에게는 화려함의 과시만이 오직 음악적 동력이 될 뿐이었다. 그런데 선배의 도움으로 연습하게 된 ‘Room335’는 내가 듣던 음악과는 전혀 다른 지점이 있었다. 지판을 현란하게 오가며 전자기타의 짜릿한 손맛을 느껴보려 했던 것과는 달리, 보다 정적인 연주패턴으로 이뤄진 곡이었던 것이다.

다섯 손가락은 각자가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한 손가락을 움직이기 위해선 다른 손가락의 근육도 써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테면 약지를 접기 위해서는 중지와 새끼손가락의 일부분을 움직여줘야만 하는 원리이다. 근육 체계가 한 지점에서부터 뻗어 나오기 때문인 것이다. 이는 근음(3도로 된 음정의 세 음이 3화음을 이루고 있을 때의 가장 낮은 음)의 원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일까. 이 곡은 손가락 근육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연주한 이후 그 흐름을 채보한 것만 같은 느낌을 전해준다. 다시 말하자면 손가락이 가는 방향으로 만든 곡, 즉 신체의 리듬과 유사한 흐름으로 자연스럽게 구성된 곡이라는 것이다.
거장이 부린 묘미를 알아챌 리 없었던 17세의 나는 컨테이너 박스 안에서 온종일 테크닉에 몰두하고 화려한 제스처에 길들여지고 만다. 나는 완벽하게 이 곡을 곡해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 각자의 방으로
누군가의 방을 거쳐 우리는 성장하고 성숙해진다. 하지만 한 평생 우리가 접할 수 있는 방은 그리 많지 않다. 나는 앞으로 누구의 방을 만나고 또 들어가게 될까.
나는 종종 우울감에 휩싸이는 날이면 그의 방으로 떠날 것이다. 그가 연주하던 스튜디오로, 그의 내면으로. 래리 칼튼은 그의 스튜디오에서 어떤 상상의 나래를 펼쳐나간 것일까. 이 곡이 어떤 리듬 속에서 어떤 감각을 펼쳐내길 원했을까. 어떤 생명력으로 살아남아 곳곳에서 들려오길, 연주되길 바라고 있었던 것일까. 그의 방은 얼마나 따듯하고 안락할까. 그의 방에서 보이는 풍경은 얼마나 아득하고 아름다울까. 음악이 흐르는 그 짧은 동안 한 공간-호텔방, 침대, 욕조, 정원, 극장-에는 연주자와 청취자만이 남게 된다. 그건 현실이 아닌 환상일 뿐이고, 그것이야 말로 음악의 본질에 가장 가까운 순간이 아닐까. 나는 오늘도 Room335의 문을 망설임 없이 열고 들어간다.

오성은 작가(동아대 한국어문학과 강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