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친환경도시 安東’ 발돋움
  • 정운홍기자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친환경도시 安東’ 발돋움
  • 정운홍기자
  • 승인 2020.0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석에너지 고갈·환경문제 인식 변화로 세계적 관심 높아
정부 ‘그림홈’사업 발맞춰 주택·건물·지역지원사업 추진
2년 연속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국비 공모사업 선정 성과
지난 2018년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으로 113개소에 태양광 및 태양열 발전장치를 설치한 안동시 임동면 중평단지 전경.
안동시청 본관 옥상에는 지난 2010년 58kW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해 탄소감축 및 에너지 절약 효과를 보고 있다.
안동시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설치한 공공하수처리장 태양광 발전시설 모습.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전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학자들은 이러한 이상기후가 지구온난화에서 비롯된 것이며 IPCC는 지난 2007년 화석연료의 사용이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규정했다.

대한민국은 온실가스 배출 세계 7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지난 2007년 대한민국 정부는 그린홈, 그린빌딩을 포함하는 ‘녹색뉴딜사업’을 확정·발표하고 2010년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을 제정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범정부적 노력에 각 지자체들도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으며 지역실정에 맞는 에너지정책을 수립하고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사업을 펼치고 있다. 본지는 대한민국 정신문화의 수도로 불리는 안동시의 에너지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의 추진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신재생에너지는 세계적 관심사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7일 ‘제1회 푸른 하늘의 날’ 기념식 영상 메시지를 통해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을 정점으로 2019년부터 감소추세로 돌아섰다”고 말하면서 ‘과감한 석탄발전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 ‘세계 최초의 미세먼지 특별법 제정’, ‘대규모 추경편성’ 등 범정부적 노력을 언급했다.

이러한 대통령의 메시지는 국제사회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기후위기’에 대한민국이 솔선수범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처럼 전세계적 관심사인 ‘기후위기’의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신재생에너지’이다.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의 합성어로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등의 재생에너지와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의 신에너지를 포괄적으로 일컫는다. 초기투자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지만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안동시의 에너지정책과 신재생에너지사업 추진현황

안동시는 지난 2007년 당시 정부의 ‘그린홈 200만호 보급사업’에 발맞춰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시작했다.

안동시가 추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은 크게 주택지원사업과 건물지원사업, 지역지원사업, 융·복합지원사업, 설치의무화사업 등이 있다.

‘주택지원사업’으로는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의 신재생에너지원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시에서는 이를 권장하기 위해 설치비의 일부를 보조지원하고 있다. ‘건물지원사업’의 경우 신재생에너지원의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설치비의 일부를 보조하는 사업으로 주택과 국가·지방자치단체가 소유·관리하는 건물과 시설물을 제외한 모든 일반 건물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 지역특성에 맞는 환경친화적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지자체가 소유·관리하는 건물·시설물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를 지원하는 ‘지역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의 주택·공공·상업건물 등에 태양광, 태양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원 융합과 구역복합을 통해 상호보완이 가능한 에너지원 설비를 보급 지원하는 ‘융·복합지원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국가·지자체 등 공공기관이 신축, 증축 또는 개축하는 건물에 대해 30%이상의 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로 사용토록 신재생설비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안동시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의 성과

농업기반도시인 안동시에서는 지난 2012년부터 올해까지 총 78개소에 ‘태양열건조기 보급사업’을 추진해 지역농가에 보탬을 주고 있다.

태양열건조기 보급사업은 농촌지역의 경로당과 마을회관 등 복지시설에 태양열 발전장치와 농산물건조기를 설치해 태양열에서 발생하는 잉여열로 건조기를 돌려 온수사용과 농산물건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다목적 시스템 보급사업이다.

정부의 ‘그린홈’사업으로 시작된 주택지원사업의 경우 지난 2008년 시작 당시 3kW 규모의 태양광을 주로 시작해 2011년부터는 17.5kW규모의 지열발전 및 30㎡이하의 태양열발전 지원도 늘어났다. 안동시는 지난해부터 주택지원사업의 규모를 대폭 늘려 131가구를 지원했으며 올해는 335가구를 지원했다.

지역지원사업 추진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10년 안동시청 본관에 설치된 58kW 규모의 태양광발전장치를 시작으로 2012년 농업기술센터, 2016년 공공하수처리장에 태양광과 태양열 에너지설비를 구축했으며 2019년에는 한국천연색소사업화센터, 용상2정수장을 비롯해 용상동과 와룡면 등 7개 행정복지센터에 20~200kW의 태양광에너지 발전장치를 설치했다.

이밖에도 지난 2018년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으로 임동면 중평리 중평단지의 주택과 건물 113개소에 태양광과 태양열 발전장치를 설치해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복지시설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을 펼쳐 관내 5개소의 복지시설에 태양광 15㎾, 태양열 46㎡설치, LED교체 등의 성과를 거뒀다.

또한 안동시는 에너지 효율가선사업으로 복지시설 고효율 냉난방기 교체사업과 노인복지시설 열 회수형 환기장치 설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으로 지난해 85개 복지시설에 216대의 냉난방기를 교체하고 내년에도 복지시설 42개소에 65대의 냉난방기를 교체할 계획이며 열회수형 환기장치도 올해 9개소 70대, 내년에는 26개소 60대를 교체한다는 방침이다.

또 지원해저소득층과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기존 형광등과 노후등을 고효율조명기기인 LED로 교체하는 ‘취약계층 전력효율향상사업’을 실시해 저소득충 300여가구와 복지시설 70여개소, 영구임대아파트 1138세대에 LED등 3만여개를 설치·지원하는 성과를 거뒀다.



△안동시의 향후 신재생에너지보급사업 추진 계획

신재생에너지사업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지방정부의 주도적인 노력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사업이다. 이에 안동시는 2019년 7월 1일 조직개편을 통해 일자리경제과에 신재생에너지 전담팀을 만들어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 결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 국비 공모사업’에 2년 연속 선정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이 사업으로 올해는 용상동과 강남동, 임동면, 임하면의 189세대 248개소에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설치했으며 오는 2021년에는 용상동을 비롯한 북후·와룡·임동·임하면에 태양광 시설 232개소 791kW, 태양열 시설 11개소 66㎡, 지열 시설 10개소 175kW의 설치를 지원하게 됐다.

이밖에도 안동시에서는 주택지원사업으로 150개소에 태양광 450㎾를 설치하고 건물지원사업으로 15개소에 태양광 46㎾, 태양열 32㎡를 설치할 계획이며 지역지원사업으로 중소유통물류센터와 복지시설 1개소에 태양광 214㎾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한 ‘모니터링시스템 설치사업’을 추진해 기존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설비의 고장감시를 통한 신속한 유지관리와 발전량 및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데이터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