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훈 포스텍 교수 연구팀
삼진 로직 회로에 필요한
원천소자기술 개발 성공
환경오염 감소 효과 기대
삼진 로직 회로에 필요한
원천소자기술 개발 성공
환경오염 감소 효과 기대

포스텍은 전자전기공학과 이병훈<사진>·강석형 교수·이용수 연구팀이 적은 전력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삼진 로직 회로에 필요한 원천소자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삼진 로직 회로는 0과 1로 동작하는 기존의 이진 회로와 달리, 0, 1, 2로 동작하는 회로다.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이진 회로보다 필요한 소자 수가 적어 전력 소모 또한 줄어들 것으로 여겨졌다.
다만, 회로의 구조적인 문제로 정보처리 과정에서 누설전류가 생겨 실제로는 여전히 전력 소모가 컸다.
연구팀은 특정 전압 영역에서만 전도성을 띠는 반양극성 스위칭 소자를 개발, 삼진 회로의 누설전류 문제를 해결했다.
반양극성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삼진 회로는 누설 전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0.15마이크로와트의 적은 전력으로도 탁월한 성능을 보였다.
이 전력량은 다른 삼진 회로에서 필요했던 전력량의 7분의 1에 불과하다.
이번에 개발된 소자는 전원 전류비가 106로 우수할 뿐 아니라, 칩 단위의 대면적 공정이 가능하고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동작하여 삼진 회로의 상용화 가능성을 더욱 높였다는 게 특징이다.
이 연구성과는 급격히 늘어난 전력 소모로 어려움을 겪는 반도체 기술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대안으로 학계의 이목을 끈다.
전력 소모를 줄임으로써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막대한 전력 사용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