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6일 칠곡의 한 농장에서 콩 탈곡기 작업을 하던 중 손이 탈곡기에 빨려 들어가 팔 부상을 입는가하면 경산·경주 등에서도 경운기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농기계는 특별한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한순간의 방심이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거나 목숨을 앗아가는 인명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22년 11월말 기준 농기계 안전사고는 686건 으로 사망 31명, 부상 606명이 발생했다.
특히, 10월엔 연중 가장 많은 99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2명이 사망하고 88명이 다쳤다.
11월에도 65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2명이 사망하고 59명이 부상을 입어 병원으로 이송됐다.
농기계 종류별 사고 발생률은 경운기가 72.2%(495건)로 가장 많았고, 트랙터 15.9%(109건), SS기 4.1%(28건), 콤바인 1.2%(8건) 순으로 나타났다.
경북도는 농업인들의 안전한 농기계 사용을 위해 헐렁한 복장이나 늘어지는 옷 피하기 작업 전·후 농기계 안전점검 경사로·좁은길 등 논·밭 출입 시 주변 안전확보 작업 간 적절한 휴식 농기계 음주운전 엄금 교차로 신호 준수 농기계 등화장치(반사판)작동 농기계 동승 금지 등 준수를 당부했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