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2018년부터 전국 2만여개 학교에 8854억 들여 설치
유지보수 업체·교육 당국 관리 소홀로 오히려 학생 건강 해쳐
유지보수 업체·교육 당국 관리 소홀로 오히려 학생 건강 해쳐

문재인 정부가 미세먼지에 대응하겠다며 졸속으로 설치한 학교 공기정화장치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학생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병욱 국민의힘 국회의원(포항남·울릉)이 17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공기청정기 유지관리 예산 현황’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까지 전국 2만여개 학교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고 유지하는데 약 8854억원을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교실 내 설치된 공기청정기 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서 오히려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온상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공기청정기 유지보수에 책임이 있는 업체들은 필터 교체를 다단계로 하청주는 등 편법을 저지르고 있고, 이를 관리·감독해야 할 교육 당국도 사실상 손을 놓고 있어 교실 내 공기청정기들이 오염물질이 가득한 채로 가동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이다.
이번에 문제가 드러난 울산교육청 산하 학교들의 사례를 보면, 해당 교육지원청은 공기청정기 임차 및 유지관리 계약 체결 시 과업지시서에 업체의 자격 요건으로 △자체 유지보수 조직 보유 △매월 1회 이상 청소·세척·점검과 주기적 필터 교체 필터 △세척 및 점검 시 사진을 통한 증빙자료 제출 등을 명시했지만 전혀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김병욱 의원은 “그동안 1조원에 가까운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무자격 업체의 난립과 교육 당국의 관리 소홀로 오히려 학생들의 건강을 해치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교육 당국은 학교 공기청정기 운영 실태를 면밀히 점검하고 이 사업의 지속 여부를 재검토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