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물자원관 950종 확보
100종은 국내 처음으로 발견
100종은 국내 처음으로 발견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 수행한 2022년‘해양생명자원조사’ 사업을 통해 21일 동해에서 새로운 해양생명자원 100종을 포함해 총 950종(2571점)의 해양생명자원을 확보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양양, 강동 등 동해 6개 연안 해역과 울릉도, 왕돌초 등 2개 섬 해역을 대상으로 벌여 해양척추동물 103종, 해양무척추 동물 551종, 해양식물 155종, 해양원생생물 65종, 해양미생물 76종 등 총 950종 2571점의 해양생명자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 중 100종은 그 간 국내에서 확보하지 못한 새로운 자원이며, 엑사칸토마이시스류(Exacanthomysis sp.) 등 37종은 전 세계 최초로 확보한 종으로 학계 보고를 통해 신종으로 등록해 우리나라 해양생명자원의 주권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해양미세조류의 일종인 오돈텔라 아우리타(Odontella aurita)는 오메가-3 등 기능성 소재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 특허를 출원한 상태며, 염도 변화에 내성이 높은 버클리야 루틸란스(Berkeleya rutilans) 등 향후 생리학적 연구나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자원도 다수 확보한 상태다.
해양수산부는 나고야의정서·발효에 따라 해양생명자원 주권을 강화하고 산업적으로 활용하기위해 2014년부터 우리나라의 해양생명자원 서식 현황을 조사하는 ‘해양생명자원조사’ 사업을 매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2022년까지 총 3만941점의 해양생명자원을 확보한 상태다.
이성희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장은 “해양생명자원은 해양바이오 산업의 기반이 되는 매우 중요한 국가자산이다”며 “우리나라 해역에서 다양한 해양생명자원을 확보하고 산업적 활용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