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4가구 30명 주민 거주
현재 1명으로 줄어 空島 위기
군, 3년 간 공도방지사업 시행
현재 1명으로 줄어 空島 위기
군, 3년 간 공도방지사업 시행
유일한 죽도 주민 김유곤(54) 씨가 내년에 아들의 학교 입학을 위해 아내와 아이를 육지로 보냈기 때문이다.
김 씨는 “가족과 떨어져 지내니 힘은 들지만 혼자서 라도 섬을 지켜야 한다는 각오로 생활하고 있지만 가족과 이별한 상태라 생활은 쉽지가 않다”고 토로했다.
이제는 가족과 함께 생활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자신의 복안이다”고 밝혔다.
죽도가 주민이 없어지는 공도(空島)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울릉군과 정부가 나서야 한다.
최근 울릉군은 유람선 등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선착장을 정비하고, 태양광 시설도 정비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죽도 시설 정비에 국비 6억3000만 원을 포함해 총 9억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본섬 주민들은 유일한 섬 지킴이가 떠나가면 섬은 공도화가 되고, 주인이 없는 땅으로 바뀌면 황량한 섬으로 변할 것을 우려한다.
울릉도 부속섬 중 면적이 가장 큰 죽도는 독도와 관음도와 함께 유인도 중 하나다. 1960년대에는 4가구 30여 명이 거주했다.
하지만 생계 등의 이유로 모두 떠나고 현재는 김 씨만 남아 유인도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국에서 거주 인구가 9명 이하인 섬은 40여 곳에 달한다. 행안부도 이들 중 25곳을 선정해 무인도로 전락하지 않도록 공도방지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울릉군의 죽도 공도방지사업은 다음 달 시작해 3년간 진행된다. 3년동안 우선 유람선 등 죽도에서 유일하게 배가 드나드는 선착장(750㎡)을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죽도 선착장은 오래전 지어진 시설물이라 관광객들의 안전사고가 우려돼 왔다. 선착장에서 죽도 섬으로 올라가는 진입로인 나선형의 계단도 보수작업이 이뤄진다.
2006년 준공된 태양광 발전 시설도 손을 본다. 현재 죽도에서는 패널 노후화 등으로 태양광 효율이 크게 떨어지면서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
울릉군 관계자는 “생활의 기본 요건인 식수, 전력, 접안시설에 대한 정비가 시급하다”며 “사업 이후에도 주민과 관광객이 머무를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등 정주여건을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1960년대 4가구 30여명이 거주하였던 죽도는 이제 1가구 1명이 거주하며 근근이 유인도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울릉 주민들은 그동안 독도 만큼은 아니더라도 죽도에 대한 연구와 함께 죽도 주민의 삶의 터전으로서 본섬과 연결하는 배편 운임 지원대책 등의 관심이 너무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섬 속의 섬인 울릉군 부속섬 죽도에 주민이 오랫동안 거주할 수 있도록 정부와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죽도는 본섬인 울릉도·독도 그리고 대한민국 섬의 미래를 가늠하는 시금석이다. 정부는 대한민국 최외곽에서 해양영토를 관리하고 있는 섬 주민의 손을 놓지 않아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