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구미세관 수출입동향
  • 김형식기자
2023년 8월 구미세관 수출입동향
  • 김형식기자
  • 승인 2023.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미세관의 2023년 8월 수출입동향(구미세관* 통관실적 기준)에 따르면,(구미시, 김천시, 상주시, 문경시, 안동시, 영주시, 의성군, 봉화군, 예천군, 칠곡군 일부 관할)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7.4% 감소한 20억 4백만 달러,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16.0% 감소한 10억 9천만 달러를 기록했고, 무역수지는 9억 1천 4백만 달러 흑자로 전년 동월 대비 19.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출동향의 (품목별) 전자제품(비중 : 63.5%), 플라스틱류(5.8%), 기계류(4.8%), 섬유류(4.5%), 알루미늄류(4.5%), 화학제품(3.5%), 광학제품(3.0%), 유리제품(1.0%) 순으로 나타남.

기계류(증가율 : 19.7%)의 수출은 증가한 반면, 광학제품(감소율 : △53.9%), 알루미늄류(△34.7%), 화학제품(△34.1%), 전자제품(△16.5%), 유리제품(△15.7%), 섬유류(△11.6%), 플라스틱류(△2.5%) 등 대부분 품목의 수출은 감소함.

(국가별?지역별) 중국(비중 : 41.1%), 베트남(11.5%), 미국(10.6%), 유럽(9.4%), 동남아(6.5%), 일본(5.7%), 홍콩(4.3%), 중남미(3.5%), 중동(0.7%)순으로 나타남.

일본(증가율:66.0%), 미국(15.1%), 베트남(0.2%)으로의 수출은 증가한 반면, 중동(감소율:△55.4%),동남아(△28.4%),중국(△23.1%),유럽(△15.1%),홍콩(△8.5%),중남미(△6.4%) 등 대부분 국가(지역)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주요 수입동향의 (품목별) 전자제품(비중 : 85.6%), 광학제품(6.5%), 화학제품(2.4%), 비철금속류(2.1%), 기계류(1.2%), 섬유류(0.5%), 철강제품(0.1%) 순으로 나타남.

철강제품(증가율 : 102.6%), 비철금속류(42.5%)의 수입은 증가한 반면, 기계류(감소율:△86.5%),광학제품(△39.5%),화학제품(△33.8%), 섬유류(△15.9%), 전자제품(△6.5%) 등 대부분 품목의 수입은 감소함.

(국가별?지역별) 일본(비중 : 32.4%), 동남아(27.0%), 베트남(19.7%), 중국(15.4%), 미국(2.2%), 유럽(1.6%), 중남미(1.0%), 중동(0.4%), 홍콩(0.3%)순으로 나타남.

중남미(증가율 : 1925.4%), 중동(200.6%), 일본(9.2%), 중국(6.8%)에서의 수입은 증가한 반면, 유럽(감소율 : △78.3%), 홍콩(△42.1%), 베트남(△31.5%), 동남아(△24.1%),미국(△13.8%)에서의 수입은 감소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