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은행권 연체율도 급상승
최근 경기불황과 금리 상승으로 국내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이 연일 오르고 있는 가운데, 비은행권의 연체율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경숙 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국내은행 기업대출 현황’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업대출 연체율은 0.37%로 2021년 1분기(0.37%)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연체 대출채권(1개월 이상 연체 원리금 기준) 잔액 또한 4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3분기(5조1000억원) 이후 제일 높은 수치이다. 2분기 기준 기업대출자는 350만 명이고 이들의 대출잔액은 총 1,262조 원으로 기업대출자수와 대출잔액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다.
또한,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은행권(상호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 등)의 대출잔액과 연체율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올 2분기 대출잔액은 663조 6000억 원으로 2013년 1분기 110조 4000억 원 이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비은행권의 연체율은 올해 2분기 기준 3.89%로 집계됐다. 2022년 4분기에 2.24%로, 2016년 1분기(2.44%) 이후 약 7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는데, 2023년 1분기에는 3.63%, 2분기에는 3.89%를 기록하며 매 분기 최고 수준을 경신하고 있다.
19일 국제금융협회(IIF)도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서 한국의 기업부채의 상황이 심각한 수준임을 지적했다. 한국은 올해 3분기 기준으로 GDP 대비 비금융 기업 부채 비율이 126.1%로 세 번째로 높았고, 부도 증가율 역시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양경숙 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국내은행 기업대출 현황’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업대출 연체율은 0.37%로 2021년 1분기(0.37%)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연체 대출채권(1개월 이상 연체 원리금 기준) 잔액 또한 4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3분기(5조1000억원) 이후 제일 높은 수치이다. 2분기 기준 기업대출자는 350만 명이고 이들의 대출잔액은 총 1,262조 원으로 기업대출자수와 대출잔액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다.
또한,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은행권(상호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 등)의 대출잔액과 연체율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올 2분기 대출잔액은 663조 6000억 원으로 2013년 1분기 110조 4000억 원 이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비은행권의 연체율은 올해 2분기 기준 3.89%로 집계됐다. 2022년 4분기에 2.24%로, 2016년 1분기(2.44%) 이후 약 7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는데, 2023년 1분기에는 3.63%, 2분기에는 3.89%를 기록하며 매 분기 최고 수준을 경신하고 있다.
19일 국제금융협회(IIF)도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서 한국의 기업부채의 상황이 심각한 수준임을 지적했다. 한국은 올해 3분기 기준으로 GDP 대비 비금융 기업 부채 비율이 126.1%로 세 번째로 높았고, 부도 증가율 역시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