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통신의 미래상
  • 뉴스1
6G 통신의 미래상
  • 뉴스1
  • 승인 2023.1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년부터 본격 시작된 5G 통신 시대가 진행 중인 지금 벌써 6G 통신에 대한 미래 논의가 한창이다. 통신 네트워크는 약 10년 주기의 세대적 진화를 통해 사회 및 산업 발전을 주도해왔다. 1G는 1984년 시작된 아날로그 전화로 음성 전화만이 가능했고 2세대는 1996년부터 시작된 CDMA로 음성, SMS, 저속데이터가 가능했고, 3세대는 2003년 시작된 WCDAM로 음성, 화상통화, 고속데이터가 가능했다. 4세대는 2011년부터 시작된 LTE로 초고속데이터가 가능해졌으며, 5G는 20Gbps 이상의 속도로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을 실현하는 통신기술이다.

그럼 6G 기술은 무엇일까. 6G는 1Tbps(Gbps의 1,000배 속도)급 전송속도, 저궤도 위성통신 기반 공중 10km까지 확대된 통신 커버리지 등 5G를 뛰어넘는 기술적 진화를 통해 실시간 원격수술,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등 고도화된 융합 서비스의 대중화가 가능한 기술이다, 6G는 5G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과 민첩한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킹 기술을 사용하여 기록적인 속도와 마이크로초 대기 시간을 제공한다. 특히, 6G는 20GB의 영화 한 편을 다운로드하는 데 0.0016초밖에 걸리지 않으며, 네트워크의 반응 속도 격인 지연시간은 0.0001에 불과하여 실시간으로 정밀제어가 가능하다. 6G는 2028년에서 2030년 사이에 상용화가 예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6G의 특성을 보면 첫째, 5G 성능의 고도화이다. 자율주행, 오감 홀로그램 통신, 원격 수술 등 5G 서비스의 본격 확산에 따른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을 고도화하는 것이다. 둘째, 네트워크 완전 지능화이다, 지능형 유무선 통신 인프라 기반의 인공지능 에이전트 간 대규모 협업을 통한 다양한 융합 서비스가 가능하다. 셋째, 통신 커버리지의 초월이다. 기존 육상 중심의 통신 서비스에서 해상, 공중, 우주 등 보편적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인프라가 구축된다.

정부는 6G의 6가지 핵심 비전으로 초성능, 초대역, 초공간, 초정밀, 초지능, 초신뢰를 제시하였다. 초성능은 최대 1Tbps급 전송속도로 데이터와 연결된 모든 기능이 비약적으로 상승한다는 것이며, 초대역은 100~300㎓ 주파수를 활용하여 엄청난 데이터가 빠르게 처리된다는 것이며, 초공간은 지원 고도를 지상 10km로 확대하여 저궤도 위성을 통한 플라잉카, 드론을 수용한다는 것이다. 초정밀은 5G 대비 지연시간을 1/10로 단축하여 모든 것을 정밀하게 제어한다는 것이고, 초지능은 네트워크 전 구간에 인공지능을 적용한다는 것이며, 초신뢰는 설계단계부터 보안기술을 내재화하여 사이버 위협 없는 안전한 융합 서비스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특히 6G 시대에는 이동 중인 플라잉카, 드론 등 비행체와의 해상·재난지역 등에서도 Gbps급 통신 이용이 가능하도록 위성망·지상망의 통합을 추진한다. 이를 위하여 위성·지상 간 통합 접속기술을 개발하고 2031년까지 총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는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의 이행도 병행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글로벌 각국에서는 6G 시장 선점을 위해 테라바이트급 무선통신, 3차원 이동통신 등 기술분야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이며, 6G 산업 선도 및 표준화 주도를 위해 관련 정책들을 적극 추진 중이다. 우리 정부도 6G R&D 전략의 충실한 이행을 통해, 5G에 이어 6G에서도 세계 최초 상용화를 실현하고 글로벌 시장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6G 핵심표준특허 보유 세계 1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장비 시장 점유율 세계 2위 등 달성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5G에서는 부족했던 소부장 분야를 육성하여 국내 네트워크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6G 관련 보안 산업과 융합서비스 시장도 발굴, 육성할 계획이다.

국내 우위 기술 기반의 표준화 주도권 확보가 6G 시장 선점의 첫 단추이므로, 기술개발이 표준 및 특허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계성을 강화하고 저변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5G와 같이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서비스가 개시되어 국민의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상용서비스 개시를 유기적으로 연계해야 할 것이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