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생과학발명왕 되다

“창의적인 생각이 대통령상을 안게했어요”

2013-07-24     정승환기자

경북과학고 우진택군
35회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최고상

 상(像)은 굴절로 인해 물체의 위쪽에 맺힌다. 물속에 담긴 긴 콜라병이 짧게 보이는 것도 굴절 때문이다.
 “물리 수업 시간에 활용하면 누구든 재미있게 빛의 굴절을 익힐 수 있을 겁니다.”
 최근 제35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경북과학고 우진택(1학년)군.
 그는 `물속 물체 허상 위치 관찰 장치’로 심사위원들로부터 뛰어난 과학적 탐구 정신과 창의적인 발상이 돋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동그란 레일 위에 설치된 레이저를 쏘거나 눈을 대고 물체를 보는 구멍에 추적 막대를 끼우면 수조에서 상이 맺히는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수상작품은 굴절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돕는 실험 장치이다.
 우 군은 중학교 2학년 시절 빛의 굴절을 설명하는 내용이 교과서마다 다르다는 점을 발견, 의문점을 갖게 됐다.
 대부분의 교과서가 빛의 굴절을 설명할 때 우리 눈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사람의 눈을 한 개로 설정하거나 두 눈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굴절로 나타나는 상의 위치가 왜곡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중고교 교과서와 대학교재 14종을 분석, `페르마의 원리’와 `스넬의 법칙’ 등 물리학 개념도 동원했다.
 우 군은 “한 개의 눈이 보는 빛은 한 개의 평면에만 존재 한다”며 “두 눈이 보는 빛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평면이고 이 두 개의 평면이 만나는 선에 상이 생기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힘들고 어려운 작품제작 과정을 잘 극복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했던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정승환기자 jsh@hido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