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화산, 조짐없이 분출 인명피해 커졌다

단풍객들 피할 새도 없이 화입어

2014-09-29     연합뉴스

 일본 온타케산 분화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것은 사전에 별 조짐이 없다가 갑자기 화산 물질이 쏟아졌기 때문이다.
 가을 단풍을 즐기던 일부 등산객들은 미처 피할 새도 없이 유독가스에 질식되고비처럼 쏟아지는 돌에 맞아 희생된 것으로 보인다.
 28일(현지시간)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따르면 일본 기상청은 온타케산을 비롯한 7개 화산에 대해 분출 가능성을 경고해 왔지만 입산 금지 등 특별한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이렇다 할 분출 조짐이 없었기 때문으로, 외국의 전문가들은 이런 형태의 분출이 아주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프랑스의 화산학자 쟈크-마리 바르댕제프는 AFP통신에 “30∼40년간 휴면상태였던 화산이 깨어날 때는 통상 24∼72시간 전에 마그마의 움직임이나 미세한 지진 활동, 온도의 변화 등 조짐이 있다”고 말했다.
 이 정도면 위험지역 거주자나 관광객들이 대피하는데 충분한데, 이번처럼 갑자기 분출할 시에는 예방 조치를 취하기가 불가능하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번 분화는 마그마가 상승해 일어난 것이 아니라 마그마로 가열된 지하수가 끓어 폭발한 `수성 화산활동’으로 추정되고 있다.
 분출 속도가 매우 빠른데다 현재 과학으로는 예측도 거의 불가능하다고 바르댕제프는 밝혔다.
 바르댕제프는 “화산 내에 물이 고여 있는 곳이 있는데 마그마가 상승하면서 동반한 열로 이 물이 갑자기 끓게 된다”면서 “이 때 발생하는 수증기로 마치 압력밥솥처럼 고압상태가 되면서 갑자기 폭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이처는 기록된 화산폭발 가운데 최대 규모로 꼽히는 1883년 인도네시아 크라카토아 화산폭발도 `수성 화산활동’에 의한 것이라고 전했다.
 당시 3200㎞ 떨어진 호주에서도 굉음이 들릴 정도로 폭발이 강력했고 뒤이은 쓰나미(지진해일)에 약 3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