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6년만에 최대… 고용의 질 악화

1년새 3만6000명 증가
전체적인 고용감소로
정규직 증가 둔화 원인

2018-10-30     서울취재본부

[경북도민일보 = 서울취재본부]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추진에도 비정규직 근로자가 꾸준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의 경우 비정규직 근로자가 1년새 3만명 넘게 증가하면서 661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근로자에서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4년 연속 증가했다. 비정규직 셋 중 한 명은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8년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661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6000명(0.6%) 증가했다.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3.0%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1%p 상승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은 2012년 8월 33.2% 이후 6년 만에 최고다.
 이는 전체적인 고용감소로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가 3000명(0%) 증가에 그치 반면, 상대적으로 비정규직이 늘어나면서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비정규직의 경우 한시적·시간제 근로자는 늘어난 반면, 비전형 근로자는 줄었다.
 기간제와 비기간제로 이뤄진 한시적 근로자는 올해 8월 382만3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만8000명(2.6%) 증가했다. 기간제 근로자가 7만5000명 증가했으며 비기간제 근로자는 2만3000명 늘어났다.
 주당 36시간 미만 시간제 근로자는 270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만5000명(1.7%) 증가했다. 시간제 근로자 중 고용안정성이 있는 근로자는 58.7%로 전년동월대비 1.3%p 하락했다.
 산업별로 보면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비정규직은 33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3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나서 비정규직의 정규직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