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인턴 6개월 이상 채용 공공기관에 인센티브”

이렇게 달라집니다

2023-11-06     뉴스1
정부가 실효성 있는 공공기관 인턴 제도를 위해 근무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인턴 채용 실적에 대한 평가 지표를 도입한다.

현재 3개월 내지 6개월인 인턴 기간을 공공기관이 자발적으로 늘리도록 유인해 청년들이 충분한 업무 경험을 쌓도록 돕겠다는 취지다.

4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오는 12월 중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앞서 6개월 이상 청년인턴을 채용한 공공기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데 이은 후속 조치다.

우선 근무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인턴 채용 실적을 정량 평가할 수 있도록 지표를 신설한다.

그간에도 공공기관의 인턴 채용 규모가 집계는 됐으나 이를 기관 평가에 적용하는 것은 처음이다.

다만 평가 결과는 공공기관의 자율성 보장을 위해 장기 인턴을 채용하지 않는 기관에 페널티를 부과하는 방식이 아닌, 채용 기관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반영된다.

기재부 관계자는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해 보니 가장 많이 하는 말이 6개월은 돼야 일을 배울 수 있단 것이었다”라며 “6개월 이상 채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면 이런 자리가 더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대책에는 인턴이 실제 맡는 업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함께 담긴다.

세부적으로는 각 공공기관에 인턴 책임관을 지정해 관리 권한을 부여한다.

또 공공기관 직원에게 주는 부총리 포상을 신설해 인턴이 ‘무늬만 일자리’나 ‘알바 체험판’ 등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보완하겠단 구상이다.

공공기관 측의 애로사항을 반영한 대책도 나온다.

그간 일부 현장에서는 계약 종료일이 있는 ‘체험형 인턴’의 경우 동기부여가 약해 근무태도가 불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상위 20%에 S등급을 주는 방식으로 인턴 수료증을 차등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인턴 수료증은 향후 취업 준비 등에 활용되는 만큼 동기부여 효과가 클 것이란 게 기재부의 설명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 밖에도 공공기관이 지방에 많은 점을 감안해 채용 과정에서 화상 면접을 늘리는 등 작아도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많이 담으려고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