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9월 착공

2009-04-27     경북도민일보
  
 이명박 대통령이 27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오른쪽 두번째부터 한승수 총리, 김관용 경북지사, 최상철 지역발전위원장.
 
  정부, 2012년까지 용수 12억5000만t확보계획
  수질 2급수로 개선…안동-임하댐 도수로 연결

정부가 오는 9월부터 낙동강 등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본격 나선다. 정부는 이를 통해 오는 2012년까지 12억5000만t의 용수를 추가로 확보해 물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4대강 본류의 수질을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기준 2급수(3ppm 이하)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7일 오후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를 갖고 이달 말 마스터플랜을 공식 발표키로 하는 등 구체적인 사업방향을 확정했다.
 마스터플랜에는 충분한 수량 확보전략, 생태 및 수질개선 전략, 지역발전 및 문화전략 등이 종합적으로 담길 예정으로, 정부는 마스터플랜이 나오면 정부고시 및 주민보상, 환경영향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9월부터 가능한 구간부터 동시다발적으로 착공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국토해양부는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중간보고를 통해 5대 핵심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물 부족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하도정비, 농업용 저수지 증고, 중소규모 댐 건설 등을 통해 12억5000만t의 용수를 확보할 계획이다. 댐 건설과 관련해선 기존 계획에 반영돼 있는 경북 영주 송리원댐과 영천 보현댐을 차질없이 건설하고 안동댐과 임하댐을 도수로로 연결키로 했다.
 또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피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0년 빈도 이상의 홍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퇴적토 준설, 노후제방 보강, 댐 건설 등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4대강 본류의 수질을 BOD 기준 2급수 수준으로 개선하며 주요 하천을 생활·여가·관광·문화·녹색성장 등이 어우러지는 다기능 복합공간으로 개조할 방침이다.
 특히 정부는 4대강 살리기를 통한 지역특화 발전을 위해 한강은 남한강 홍수방어대책을, 낙동강은 홍수방어·물확보·생태복원대책을, 금강은 백제문화유산과 연계한 지역발전대책을, 영산강은 홍수방어·수질개선책을 중심으로 각각 개발키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철저한 문화재 복원대책과 함께 `문화가 흐르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전개하고, 농림수산식품부는 친환경농업 확대를 통해 오염물질 유입을 최소화하는 한편 강촌의 자연환경 등을 활용해 `금수강촌(村)’ 조성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사업시행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각 지방청에 경작지 보상센터를 설치하고 지역업체가 관련 사업에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손경호기자 skh@hido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