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가의 `성추행’

2006-09-14     경북도민일보
 
 
 `시민의 신문’은 1993년 경실련 주도로 창간된 시민사회운동의 축이다. 97년에는 참여연대 등이 참여해 조직을 확대개편하면서 시민운동권 공동신문으로 태어났다. 그 신문의 `이형모 대표’는 민청학련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뒤 89년 경실련 재정위원장, 92년 상임집행위원장을 맡았다. 또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 자문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 그런 그가 `성추행’으로 대표직을 물러났고 시민의 신문은 사과했다. 오늘날 시민운동의 위선적 모습을 적나라하게 폭로하는 사건이다.
 시민사회단체와 운동가는 엄격한 도덕성으로 사회규범과 법을 준수하고 실천해 사회의 모범이 되어야 할 주체다. 수많은 시민단체와 비정부조직(NGO)들이 내건 명분도 여기에 있다. 이들의 존립은 높은 도덕성과 현실과의 비타협에서 출발한다. 권력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시민운동은 이제 `시민없는 시민단체’ `권력과 이익을 좇는 부나비’와 동의어가 되어버렸다.
 환경단체 대표가 각종 기념품을 만들어 환경 감시 대상 대기업에 떠넘기다시피 팔아 돈을 남기고, 낮에는 기업을 협박하고 밤에는 기업으로부터 돈과 향응을 받는 `범죄자’ 수준의 시민운동가를 수없이 봐왔다. 그것도 모자라 참여연대는 정부내의 요소에 진출해 있다. 이른바 `참여’가 현실참여가 아니라 `권력참여’의 인상을 준다. 참여연대의 각종 문서가 국무총리실에 널려 있다는 것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시민의 신문 이 대표가 성추행한 대상은 같은 시민운동가다. 그는 성추행으로 비난을 받은 바로 그 시점 경기 평택 미군기지 확장 부지 철거 현장으로 달려가 `철거 반대’를 외쳤다고 한다. 성추행과 시민운동, 반미운동이 어떻게 부합하는지 도무지 알 수 없다. 어느새 시민단체와 운동가들이 우리사회에 `괴물’ 같은 존재가 되지 않았는지 자문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