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좌파들아! 영화 ‘국제시장’을 보았나?
  • 한동윤
진보·좌파들아! 영화 ‘국제시장’을 보았나?
  • 한동윤
  • 승인 2015.01.09
  • 댓글 1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시장’폄하하는 진보·좌파들의 사팔눈 

[경북도민일보 = 한동윤] 영화 ‘국제시장’이 폭발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6·25 당시 중공군의 침략을 피해 자유를 찾아 남으로 탈출한 ‘흥남철수’가 모티브다. 그 흥남철수 이후 피난민이던 월남(越南) 실향민, 그리고 우리의 ‘아버지 세대’가 전쟁의 잿더미에서 대한민국을 어떻게 일으켰는지, 그 과정에서 어르신들의 희생(犧牲)이 얼마나 눈물겨웠는지, 그리고 그들이 흘린 피와 땀은 또 얼마나 고귀한지가 고스란히 담겼다. ‘픽션’이 아니라 다큐멘터리다.
 작년 12월 17일 개봉한 ‘국제시장’은 유료관객 ‘1000만명’에 접근하고 있다. 과거를 회상하는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20~30대 청년들이 관객의 40% 정도를 차지한다는 게 특징이다. 어르신들이 눈물흘리는 모습은 그렇다 쳐도 젊은층이 코를 훌쩍이는 모습은 매우 이례적이다. 그동안 몰랐고, 외면했던 부모 세대의 고생과 희생이 젊은 세대에게도 고스란히 전해졌다는 얘기다. 싸구려 조폭, 저질 코미디-포르노 영화가 판치는 영화판에 모처럼 신선한 공기, 건설적인 작풍(作風)이 불어온 것이다. 특히 ‘동막골’, ‘화려한 휴가’, ‘광해’, ‘변호인’같은 정치성 짙은, 이념적으로 왜곡된 필름이 넘치는 영화판의 자정(自淨)이 시작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걸게 된다.
 영화 ‘국제시장’은 한국현대사의 심각한 주제인 전쟁과 산업화를 웃음과 눈물을 교차시키며 감동을 이끌어 냈다. 흥남철수작전, 파독광부-간호사, 월남전 파병, 이산가족 상봉 등 지금의 풍요(豊饒)가 너무 겨워 잊고 살았거나, 기억하고 싶지 않은 과거사가 고스란히 온몸으로 전해졌다. 우리가 지금 어떻게 잘 살수 있게 됐는지, 대한민국이 세계 경제강국으로 어떻게 존경받게 됐는지 ‘국제시장’을 보면 답이 나온다.
 웃기는 것은 소위 진보좌파들이 ‘국제시장’에 쌍심지를 켜고 물어 뜯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대한민국의 성공이 그들이 가장 싫어하는 60대 이상의 어르신의 공(功)이라는 사실을 부정하는 것이다. ‘꼴통 보수’, ‘꼰대’에 불과한 늙은이들이 먹지도, 쓰지도, 입지도 않고 고생한 결과가 세계 12위의 경제강국, 세계 9위의 무역대국 대한민국을 건설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일종의 ‘소시어패스’들이다.

 국제시장이 상영되자 박근혜 대통령이 영화관을 찾았다. 박 대통령은 부부 싸움을 하던 국제시장 상인 커플이 ‘애국가’가 들려오자 싸움을 멈추고 가슴에 손을 올린 장면에 감동한 글을 남겼다. 아들이 영화에 출연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소속의원들과 영화관을 찾았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은 ‘국제시장’대신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를 관람했다. 문 의원은 흥남철수 때 월남한 실향민의 아들이다.
 영화평론가 허지웅씨는 트위터를 통해 “아버지 세대의 희생을 강조하는 ‘국제시장’의 등장은 반동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한겨레신문 인터뷰에서 “‘국제시장’을 보면 이 고생을 우리 후손이 아니고 우리가 해서 다행이다라는 식”이라며 “정말 토(吐)가 나온다”고 악담을 퍼부었다. 그러자 최고 깐죽꾼인 진중권 동양대 교수도 “그럭저럭 얼추 골을 갖춘 신파로 감독은 썰렁한 개그와 싸구려 신파로 재포장해 내놓는 길을 택했다”고 폄하했다. 두 사람은 ‘국제시장’을 보려고 극장으로 향하는 20~30대와, 그들이 영화를 보고 눈물흘리는 모습을 보고 반성해야 한다.
 국제시장을 감독한 윤제균 감독은 “영화는 가난한 시대 속에서 치열하게 살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 세대에 대한 헌사(獻辭)다. 개인적으로는 내 아버지에게 바치는 영화다. 대학교 2학년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평생 가족과 일만 생각하다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감사 인사도 못 드린 게 평생 한이 됐다. 이 영화를 통해 ‘아버지 고맙습니다. 고생 많으셨어요’라고 말하고 싶었다”고 했다. 이게 진정한 예술가의 얼굴이다.
 헌법재판소에 의해 ‘종북’ 통합진보당이 해산됐다. ‘종북 콘서트’의 신은미, 황선은 곧 사법처리될 예정이다. ‘국제시장’에 앞서 애국-호국 영화 ‘명량’이 국민의 호응 속에 크게 성공했다. 반면 북한의 천안함 폭침을 우리 책임으로 조작한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와 세월호 참사에 끼어들어 유족들의 분노를 산 ‘다이빙 벨’주제의 영화가 실패했다. 이제 대한민국이 제대로 굴러가는 것 같다. 영화 ‘국제시장’ 만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5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2015-01-12 18:49:58
기자님 청와대 가실일 있으시면 대통령 뵙고 오체투지 하신 다음 외치세요 "위대하시며 영명하시며 민족의 장군별이시며 인민의 향도성이시며 불러도 불러도 그 이름 길이 빛나실 박근혜 대통령 각하 만세" 어떠세요? 개인적으로 당신 수준에 딱 맞는 인사법이라고 보는데

카시오 2015-01-12 10:59:17
지역감정 이념갈등을 조장하는건 다름 아닌 언론이고 기레기라는걸 어김없이 보여주는구나

ㅇㅇ 2015-01-11 14:31:36
진보성향 띄는게 대한민국의 성공이 그들이 가장 싫어하는 60대 이상의 어르신의 공이라는 사실을 부정하기 때문이라는 망상은 대체 어디서 나온 걸까.

이야... 2015-01-11 01:49:40
이건..네이버 영화평에 일반관람객이 글쓰는 수준이지..기자가 쓴것 맞나? 신문수준이 뭐이래...

2015-01-11 00:00:31
나이먹고 이렇게 조잡하게 글쓰는 사람은 대충 사이즈나오지 ㅎㅎ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