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첩산중에 피어나는 행복
  • 경북도민일보
첩첩산중에 피어나는 행복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07.0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호수/편집국장 
 
 
 국립공원 지리산 장당골. 모진 겨울을 견딘 대지는 생명의 찬란함을 함성으로 노래한다. 귀 기울이면 산새는 산새대로 개구리는 개구리대로 소리 내어 새 생명을 찾는 몸짓이 분주하다.
 알을 낳는 놈들도 있다. 나는 틈만나면 이곳 산촌을 찾는다. 해발 800m 장당골 산정엔 아직 얼음과 눈이 여기저기 겨울을 털어내고 있다. 며칠 전에도 이틀간 눈이 내렸다. 4월에도 눈이 오는 첩첩산중이다. 하지만 요즘은 여기도 봄을 만드느라 분주하다.
 자기 몸의 200배가 넘는 흙의 무게를 헤치고 나온 머위진딧물은 아직도 흙을 안고 있다.
 양지바른 산기슭엔 금낭화,산괴불주머니,제비꽃,복수초,달래가 무리지어 돋아나고 있다. 홍씨 부인은 달래 두 줄기를 뽑는다.
 “된장찌개에 넣어 먹어야지.히히히.” 혼자 웃으며 주머니에 넣는다.
 산꾼들을 쫓아 내원골 산정에 올라 가쁜 숨을 몰아쉬며 가슴 가득 산의 향기를 먹는다. 걸음을 옮길 때마다 이름 모를 풀들이 나를 반긴다.
 더불어 살고 있음을 느낀다. 얼핏 보라색이 보인다. 작디작은 오랑캐꽃이다. 작은 꽃임에도 불구하고 완벽한 모습이다.
 “이토록 작은 꽃도 최선을 다하는 구나” 하는 생각에 코끝이 찡하면서 가슴이 짠해진다. 겨울이 가면 봄이 온다는 사실이 새삼 감격스러워진다.
 죽음은 곧 삶의 시작이라는 진리 속에서 `질량 불변의 법칙’을 배운다. 어느 땐가 불교 교리를 전혀 모르는 나에게 홍씨 부인이 다정스레 설명해주었던 `사성제’가 문득 떠오른다. 고집멸도(苦集滅道). 고통은 모이기 마련이며 모인 것은 없어지기 마련이다. 이것이 도, 즉 진리이다. 나는 이 진리를 행복에 대입해 본다.
 행집멸도(幸集滅道). 행복도 모이며 모인 것은 없어진다는 것이 진리이다. 그렇다면 행복도, 고통도 머무는 바가 없구나. 그저 아침, 낮, 저녁처럼 순환되는 사이클에 불과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게 생각을 하면 나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은 편안하게 감싸 안을 용기가 생긴다.
 산속 깊숙히 자리한 홍씨네 산장. 10여 평 남짓한 곳간엔 온통 술(酒) 천지다. 모과,다래,머루,더덕,오미자,천마,복분자,죽순주,솔잎주,가시오가피,마과목 등 몸에 좋다는 약술은 다모였다.작게는 1되짜리에서 1말짜리 옹기와 유리병에 담겨진 약술단지는 자그마치 150여개다. 저마다 검붉고 흰,그리고 노란빛의 고운색채를 뽑내며 익어가고 있다. 홍씨 부인이 한여름 땡볕에서 초겨울까지 골짝골짝을 누비며 열매와 뿌리를 채취해 담궈둔 약술은 지리산 브랜드로 단골 고객들에만 팔려나간다. 홍씨네는 산촌 생활의 참기 어려운 고통이 닥칠 때마다 없어질 고통을 한 발짝 떨어져서 바라보는 훈련을 한단다.
 이 고통이 한 달에 끝날 것인지,아니면 3년에 끝날 것인지를 바라보고 고통이 지나가는 동안 최선을 다해 고통을 보듬는다. 그러면 일상사의 한 부분처럼, 친구처럼 잘 지낼수가 있다고. 물론 더 긴 기다림도 있단다. 산촌 생활이라는 것은 육체노동을 기본으로 한다. 고단하게 일한 뒤 오는 적당한 피로감이 잡념 없는 잠자리를 제공한단다.
 한 여름에도 모기 한 마리 없는 해발 800m의 청정한 산촌. 홍씨 부부는 산골 흙냄새가 정신을 살찌우고 평화를 얻는 생활이라고 자랑이다. 그래서 항상 더 바랄 것이 없단다.
 도시인들에 미안한 마음이 들 때가 많다고 한다. 그러나 도시에 있는 친구들은 딴소리다. “네가 일하는 것을 보면 숨이 차다.어떻게 그렇게 많은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니?”. “나에겐 꿈이 있거든. 내가 조금 더 일하여 얻은 이득을 모아 명상센터를 만들려고 해. 그래서 지친 사람들을 이 산골로 초대해서 내가 느끼는 행복을 함께 나누고 싶어.” 나누어 주고 싶은 마음이 에너지를 만든다. 자연은 아무렇지도 않게 나에게 행복을 준다. 주되 주는 마음 없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