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하며 단합된 그대들 신명나게 오늘을 즐기세
  • 경북도민일보
놀이하며 단합된 그대들 신명나게 오늘을 즐기세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07.06.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항문화원 ,민속축제 환호해맞이공원서
그네뛰기 등 민속놀이-전통행사`한자리’


  음력 5월5일(올해는 6월19일)은 `단오’다.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에 속하는 단오에는 여러 가지 풍속과 행사가 행해졌다.
 대부분의 세시풍속은 더운 여름철의 건강을 유지하는 지혜와 신체단련을 위한 놀이, 재액을 방지하기 위한 습속, 풍농을 바라는 의례가 주를 이룬다.
 포항문화원(원장 권창호)에서도 `제12회 단오절 민속축제’를 19일 오전 10시부터 환호해맞이 공원에서 연다. 그네뛰기, 윷놀이, 투우놀이, 씨름 등 민속놀이를 비롯해 여성한복 맵시자랑와 월월이 청청 등 풍성한 전통행사가 열린다.  `단오’에 가장 대표적인 세시풍속은 `창포물에 머리감기’. 이를 간단히 재연하기 위해 이날 행사참석자 전원에게 천궁잎을 꽂아준다.
 권 원장은 “농가의 부녀자들은 `단오장’이라 해 창포뿌리를 잘라 비녀로 만들거나 천국잎을 머리에 꽂아 두통과 재악을 막는 풍습이 있었다”며 “`창포물에 머리감기’와 더불어 `그네뛰기’와`씨름’은 단오의 대표적인 놀이”라고 설명했다.
 `그네뛰기’는 여성들의 대표적인 놀이다. 이와 쌍벽을 이루는 대표적인 남성들의 놀이는 `씨름대회’.
 조선 후기의 화가 신윤복의 `단오풍정’을 보면 한복을 차려 입은 부녀자들이 치마폭을 바람에 날리며 하늘로 치솟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새모시 옥색치마를 걸치고 푸른 창공을 향해 높이 오르는 그네뛰기 등 풍성한 민속행사로 시민들이 단오절의 향수를 느끼는 기회가 될 듯.
 단오날 풍속에 따라 남원의 백희선 문화재기능 보유자가 제작한 오색꽃 부채 2000개를 현장에서 나눠 준다.
 부채는 더위를 식히기 위한 도구로 단오 무렵이면 더위가 찾아오니, 이날 부채를 선물하며 안부를 묻기도 했다. 권 원장은 “`서중문안’이라는 말이 있다. 더위를 잘 보내고 건강해라는 의미 부채를 선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여성한복 맵시자랑 대회를 통해 고유의 전통의상에 대한 멋을 한껏 뽐내고, 포항시의 문화유산인 ’월월이 청청’놀이 공연과 문화원 전통예술단의 고전무용, 민요들이 곁들어져 흥을 돋운다.
 권 원장은 “그동안 매년 송라면 보경사에서 개최해왔으나 올해는 시민들의 접근성이 좋은 환호해맞이공원에 마련했다”며 “이번 단오절 민속축제를 통해 단오절의 세시풍습 등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면서 시민 화합을 도모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일본은 양력 5월 5일을 단오로 챙긴다. 일본 발음은 `탕고’(たん-ご).
 이날은 남자 아이들의 입신양명과 무사한 성장을 빌기 위한 행사로 진행된다. 여자 어린이들의 무병장수와 행복을 빌기 위해 해마다 3월 3일에 치르는 일본의 전통축제인 `히나마쓰리’와 반대다.  8세기 나라시대부터 행해졌다고 하는데, 처음에는 창포나 쑥을 처마에 매달아 두거나, 벼슬아치들의 관에 창포를 장식하는 등 액막이 행사로 치러졌다. 이후 여러 세기를 거치면서 남자 아이들을 위한 날로 굳어져 에도시대 중기부터 전국적인 행사로 발전했다. 이 날이 되면 일본의 가정에서는 집 밖에 잉어 모양의 깃발 `고이노보리’을 달고, 집안에는 남자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라는 뜻으로 무사인형을 장식한다. 남자 아이에게 투구나 갑옷, 칼과 같은 사무라이의 장식을 선물하기도 한다.
 위덕대학교 일본어학부 안희정 교수는 “일본에서는 `고이노보리’를 지붕보다 높이 달았지만 지금은 베란다 걸기도 한다. 또 할머니가 손자에게 무사의 모형장식을 선물한다”며 “용감하게 잘 자라라는 뜻이다”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대나무 잎이나 카시와 나무잎으로 싼 떡인 `카시와 모찌’를 만들어 먹기도 하고 창포탕에 씻기도 한다. 
 
 중국에서도 음력 5월 5일은 단오절인 `뚜안우지에(단오절)’다.
 단오절을 즈음해 먹는 음식은 `쫑즈’. 찹쌀에 대추나 팥 등의 속을 넣어 연 잎이나 대나무 잎에 싸서 찐 일종의 주먹밥과 비슷하다. 한 개만 먹어도 배가 든든해질 정도로 묵직하다.  `용주경기’는 배의 선체에 용머리 그림을 붙이거나 장식을 한 `용주’를 타고 시합을 하는 민속 놀이다. 용주 배의 크기는 지방마다 틀리며, 시합은 정해진 거리 내에서 동시에 출발하여 도착지점에 가장 빨리 도착하느냐로 시합의 승부가 결정된다. 중국의 각 민족의 용주 시합 거행 날짜는 틀릴 수 있다.  용주 경기는 중국 남방지역에서 발전하고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래서 단오절은 `용주절’이라고도 한다.
 위덕대학교 중국어학부 김명석 교수는 “단오는 중국에서도 큰 명절”이라며 “역사적으로는 전국시대 초나라 시인 굴원(屈原)이 멱라수에 빠져 죽었다는 고사에서,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으로 연잎에 쌀을 넣고 밥을 지은 `쫑즈’를 물 속에 던지던 풍습이 지금까지 나눠먹는 풍습이 됐다. 또 굴원을 작은 배로 구한다는 뜻의 놀이로서 일종의 보트레이스인 `용주경기’가 지금까지 전한다”고 설명했다.
  /남현정기자 nhj@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