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 분뇨, 또 하나의 심각한 환경문제
  • 뉴스1
양돈 분뇨, 또 하나의 심각한 환경문제
  • 뉴스1
  • 승인 2017.10.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수종뉴스1 고문

[경북도민일보 = 뉴스1]  한 달여 전 고등학교 동창생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다시 볼 수 없다는 인간적 상실감도 컸지만, “할 일이 많은 사람인데” 하는 아쉬움이 가슴을 아리게 했다. 그는 평생 농촌을 생각하고 농촌이 잘 사는 방법을 실천하며 살았던 소설 ‘상록수’의 주인공 같은 사람이었다. 
 죽은 내 친구의 이름은 진길부(秦吉富). 그는 ‘도드람양돈협동조합’ 창설 멤버로 1~4대 조합장을 역임했다.
 그의 양돈조합 경영 이야기를 듣게 된 것은 2008년 희망제작소의 박원순 상임이사(현 서울시장)가 사회를 바꾸는 아이디어를 실천으로 옮기는 개척자들을 초청하여 강연회를 열었는데, 그가 강연자로 출연했기 때문이다. 나는 모르고 있었지만 진 조합장은 한국 양돈업계에서는 개척자적 존재였다.
 그는 덴마크의 농업협동조합 운동에 깊은 감명을 받아 경기 이천에서 돼지를 기르는 예닐곱 명 안팎의 농가를 묶어 도드람양돈협동조합을 만들고 이를 기업형 조합으로 키운 사람으로 그 분야에서는 유명했다. 그의 양돈농장을 방문하고 가끔 만나 얘기를 나눴는데 두 가지 일화가 퍽 인상적이었다.
 첫째 이야기는 돼지고기(돈육) 생산방식이다. 그는 농업선진국 덴마크에서 돈육생산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조합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2명의 덴마크 도축전문가를 한 달간 초빙했다. 왕복항공료와 숙식비 그리고 3000만 원의 기술 자문료를 지불했으니 조합원들의 불만이 꽤 높았을 법하다. 그러나 이들 덴마크 기술자들이 한 달 간 머물며 도축기술을 전수한 후 돈육의 맛이 좋아지고 무게가 더 나가면서 이들에게 지불한 기술료의 몇 배의 수익이 생겼다고 했다.  
 두 번째는 돼지분뇨 처리기술 개발 이야기였다. 돼지를 수천수만 마리 기르는 양돈장은 대량으로 쏟아지는 분뇨처리가 큰 문제였다. 악취와 오염이 주변에 큰 민원을 야기했다. 진 조합장은 연구원을 투입하여 톱밥과 미생물 배양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분뇨를 퇴비와 액비로 자원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농장을 방문한 나에게 진 조합장은 컵에 담은 물을 건네며 “한번 마셔 봐. 돼지 오줌이야”라고 말했다. 내가 고개를 돌리자 그는 “그럼 손이나 씻어봐”라고 말했다. 그물로 씻은 손을 코에 대도 냄새가 안 났다. 

 그때 나는 제주도의 양돈 분뇨 문제를 꺼냈다. 관광객들이 골프 치러 제주도 갔다가 분뇨악취로 코를 막고 돌아선다는 얘기를 해줬다. 진 조합장은 알고 있었고 사업을 벌일 계획을 하고 있었다.
 아닌 게 아니라 4연임 후 조합장 자리를 그만둔 그는 양돈장 분뇨처리 사업을 논의하기 위해 제주도에 뻔질나게 다니면서 양돈농가와 담당 공무원들과 접촉했다. 진 조합장은 제주 양돈 분뇨 처리 문제가 대단히 심각하다고 말했다. 양돈 농가들이 돼지분뇨를 ‘숨골’, 즉 화산암벽 사이에 생긴 구멍에 버리고 있다는 것이다. 숨골은 빗물을 지하수계로 통하게 하는 물길이다. 
 진 조합장은 분뇨처리를 위해 제주에 몇 년 공을 들이는 듯하더니 이천으로 돌아가 버렸다. 양돈농가들은 분뇨처리 문제의 심각함을 느끼지 못했고, 공무원들은 심각성을 느끼지만 법과 조례 탓을 하며 나서서 개선할 의지가 없는 것을 보고 어쩔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정부는 예산을 투입하면서 개선을 시도했지만 양돈농가와 공무원들의 마음이 실리지 않는 정책은 무용지물일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그로부터 3~4년이 흘렀다. 지난 9월 5일 방송 뉴스를 듣던 제주도민들은 충격에 빠졌다. 제주시 한립읍 상명리에 있는 길이 70m, 폭 7m의 용암 동굴 바닥이 온통 돼지 분뇨 오염수와 찌꺼기로 흥건히 차 있는 화면이 흉측스럽게 방영되었던 것이다.
 채석장 암벽 틈에서 코를 찌르는 악취와 오수가 나오는 것을 발견한 주민의 신고로 수사에 착수한 경찰은 돈사 분뇨저장조가 넘치면 근처 숨골로 흐르도록 방치해놓은 것을 보고 불도저와 장비를 동원해 숨골을 추적했다. 그랬더니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은 용암동굴이 나왔고 이 동굴의 폐수가 지하수맥을 타고 인근 폐채석장으로 흘러가는 것을 찾아냈다. 숨골에 버린 양돈 분뇨가 제주의 특수 지질인 현무암 지하수계를 따라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경찰이 수사결과 양돈분뇨를 불법적으로 버린 농장은 네 곳이며 2013년부터 4년간 버린 분뇨의 양이 무려 1만7000톤이나 됐다. 분뇨로 오염된 숨골은 원상회복에 수십 년 걸리고 환경 피해를 회복하는 것이 사실상 힘들 것이라는 게 경찰의 판단이다.
 제주도 가치의 최상위는 청정 환경이다. 그런데 제주도는 지금 환경 위기에 있다. 인간 활동과 그 방법이 자연의 수용 용량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기회에 양돈농가의 환경 오염행위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정책과 공직자의 자세 전환이 절실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