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투수 미란다와 제프 베이조스
  • 뉴스1
두산 투수 미란다와 제프 베이조스
  • 뉴스1
  • 승인 2021.0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BO리그 두산 베어스 외국인 투수 아리엘 미란다(Ariel Miranda). 2016년 메이저리그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데뷔한 그는 빅리그 통산 44경기에 출전해 13승9패를 기록했다. 그 후 미란다는 일본프로야구와 대만프로야구를 거쳐 2021년 시즌 두산 베어스로 옮겨와 에이스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 중이다.

그가 지난 9월1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기아 타이거스와의 홈경기에 선발로 나서 노히트 노런을 아깝게 놓쳤다. 9회말 투아웃을 잡고 아웃 카운트 하나를 남겨놓고 안타를 허용해 대기록 달성에 실패했다.

투수 ‘트리플 크라운’에 바짝 다가선 미란다. 그는 마운드에 설 때마다 ‘SOS CUBA’라고 적힌 야구모자를 쓴다. 미란다가 포수의 사인을 보려 두 손을 글러브에 모아 집중할 때마다 중계 카메라에 그의 모자가 클로즈업된다.

‘SOS CUBA’

도대체 쿠바에 무슨 일이 있길래. 인터넷에는 최근 쿠바에서 카스트로 형제의 장기집권에 따른 경제위기로 반정부시위 사태가 심각하다고만 나와 있었다. MLB닷컴과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미란다는 1989년 쿠바 아바나에서 태어나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쿠바야구리그에서 활동했다. 2014년 미국으로 망명해 2015년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계약했다.

MLB에는 쿠바 출신 스타플레이어들이 많다. 대표적인 선수가 ‘쿠바산 미사일’(Cuban Missile)이란 별명이 붙은 뉴욕 양키스의 아롤디스 채프먼이다. 한때 LA 다저스에서 류현진과 함께 뛰었고 신시내티 레즈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도 활약했던 야시엘 푸이그도 있다. 푸이그는 아바나에서 작은 보트를 타고 플로리다 해협을 건넌 경우다.

MLB에 가장 많은 선수를 배출한 국가는 도미니카 공화국이다. 그 다음이 멕시코, 쿠바, 베네수엘라 등이다. 2020 도쿄올림픽 야구 동메달 결정전에서 한국은 도미니카에 패하면서 6개 출전국 중에서 4위를 했다. 멕시코, 쿠바, 도미니카공화국 같은 중남미 야구선수들의 꿈은 단 하나, 빅리그에 진출하는 것이다.

도미니카공화국 선수들은 실력만 있으면 언제든 빅리그의 문을 두드려볼 수 있지만 쿠바는 이 길이 막혀 있다. 쿠바가 미국의 적성국(敵性國)이기 때문이다. 62년째 사회주의 체제를 고수하는 쿠바는 미국의 경제제재를 받고 있다. 오바마 정부 시절 국교가 정상화되는 듯했으나 미대사관 직원들의 원인불명 사망사고로 다시 단절 상태다. 쿠바 야구 유망주들이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려면 먼저 망명자 신분이 되어야 한다. 채프만과 푸이그가 그랬던 것처럼.

야구 선수들만 미국행(行)을 꿈꾸나. 쿠바 젊은이들 상당수가 미국으로 가기를 희망한다. 일단 미국에 입국하기만 하면 고생을 하더라도 훨씬 더 많은 기회가 있다는 것을 그들은 안다. 그러나 쿠바인의 미국 이민은 법적으로 불가능하다. 방법은 망명이나 밀입국뿐.

쿠바 수도 아바나와 플로리다 키웨스트 사이에는 너비 150km의 바다가 놓여 있다. 지금도 플로리다 해협은 어둠을 틈탄 불법 밀입국 보트들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린다. 플로리다 해협에서 풍랑으로 보트가 전복돼 상어밥이 된 쿠바인들은 헤아릴 수도 없다.

체 게바라 공산혁명 후의 쿠바

피델 카스트로가 체 게바라와 손을 잡고 공산혁명으로 집권한 게 1959년. 사르트르 같은 좌익 지식인들은 좌익혁명가 체 게바라에 아낌 없는 찬사를 보냈다. ‘체 게바라는 우리 시대의 완벽한 인간이다.’ 그 영향으로 지금도 베레모를 쓴 좌익혁명가의 사진은 소비된다.

피델 카스트로의 공산정권은 평등한 사회를 구현한다는 명분 아래 기업을 국유화했고 사립학교를 없앴다. 어린이들은 학교에서 군사훈련을 받았고 반미(反美)노래를 불렀다. 기업가, 농장경영자, 외국계 회사 대표, 전문직 종사자, 공장주 등 부유층과 엘리트층은 공포를 느꼈다. 암흑시대를 예견한 이들은 비밀리에 가톨릭·미정부와 손을 잡고 어린이들은 미국으로 출국시켰다. 1960년부터 1962년 사이에 1만4000명의 쿠바 어린이들이 부모 없이 미국땅을 밟았다. 이 작전을 가리켜 ‘피터팬 작전’(Operation Peter Pan)이라 부른다. 미국이 쿠바와 국교를 단절하기 전의 일이다.

기업을 국유화한 사회주의 쿠바는 어떻게 되었나. 모두가 잘 산다는 평등 사회는 모두가 가난한 나라로 전락했다. 카스트로와 체 게바라의 초대형 초상화가 곳곳에 걸린 아바나 거리는 윤기를 잃고 궁티가 흘렀다. 자유경쟁을 상실한 국영기업들은 생산성이 떨어져 일자리를 만들지 못했다. 1970년대 이후 최근까지 쿠바 젊은이들은 대학을 나와도 일자리가 없었다. 여성의 경우는 더 심각했다. 이상은 평화롭지만 역사는 폭력적이라는 현실의 법칙은 체 게바라의 쿠바 혁명에서도 다시 입증되었다.

‘피터팬 작전’이 진행중이던 1960년 7월 쿠바 아바나 공항. 난민 여권과 작은 가방을 손에 쥔 열여섯 살 소년 미겔 베이조스가 부모의 배웅을 받으며 미국으로 향했다. 소년의 부모는 산티아고에서 목재소를 운영하다가 공장을 공산정권에 강탈당했다.

미국 땅에 내린 쿠바 어린이들은 마이애미 임시수용소로 들어갔다. 이후 ‘피터팬 난민들’은 가톨릭교단의 주선으로 미국의 각 가정으로 보내졌다. 미겔 베이조스는 다른 어린이들과 함께 델라웨어 월밍턴 교구로 보내졌다. 그곳에서 가톨릭계 고교를 마친 베이조스는 난민 장학금을 주는 뉴멕시코주 앨버커키대 공대에 입학한다. 졸업 직전 베이조스는 네 살 아들과 힘들게 살던 싱글맘 재클린과 사랑에 빠진다. 베이조스는 졸업과 함께 에너지기업 엑손에 입사했고 30년간 일하며 성공한 엔지니어로 산다.

베이조스는 장성한 의붓아들이 창업을 하자 투자금을 보태며 적극 응원한다. 그 아들이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의 이름을 미디어에서 접할 때마다 생각한다. 미겔이 ‘피터팬 난민’으로 힘들고 외로운 시절을 보내지 않았더라면 과연 싱글맘을 사랑으로 감쌀 수 있었을까, 그리고 제프가 미겔을 만나지 못했더라면 오늘의 제프가 되었을까. 최근 미겔 베이조스는 아내 재클린과 함께 자신의 모교인 월밍턴 살레지애넘 고교에 1200만달러(약 135억7800만원)를 기부했다.

투수 미란다의 ‘SOS CUBA’로 인해 플로리다 해협의 보트피플, 미국-멕시코 국경의 밀입국, 시리아 난민, 동베를린 주민, 피터팬 난민을 거쳐 제프 베이조스까지 왔다.

우리는 지금 탈레반에 쫓긴 아프가니스탄 난민 행렬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보다 더 가슴 아픈 이들은 중국에서 공안(公安)에 쫓기며 오도가도 못하는 탈북자들이다.

“난 어디로. 어디로 가야 하는 건가요?(Donde Voy, Donde voy?)”

조성관 작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