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관훈의 한 컷 說

조선 중기 대구읍성 북문의 작은 장터가 임진왜란 등 큰 전란을 겪으며, 조금씩 그 규모가 커져 갔다.
이 시기 3대 장(場)은 평양장, 강경장, 그리고 대구장이다. 1920년대 들어 대구시가지가 점점 확장되자 대구읍성 서문 근처의 천황당지를 대신동, 비산동, 달성군 일대 고분군의 봉토로 매립해 장터를 조성했고, 1922년 공설시장 개설허가를 받은 것이 지금의 서문시장이다.
코로나19로 인해 현재 30여개 점포가 야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나, 아직도 젊고 활기찬 공간으로 단순히 살거리뿐만 아니라 먹거리, 볼거리,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전통시장으로 탈바꿈했다. 지난 100년의 시간 동안 우리 삶의 모습과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시장 길을 걸으며 다시 100년을 기억할 우리의 삶과 문화가 어떻게 그려질지 상상해 본다.
사진·글=조관훈기자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