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업체 대표 “영주시, 사전 정보 유출하고 담합 판 짜줬다”
‘담당공무원과 참여 업체간 결탁·입찰가격 담합’ 수사의뢰
영주署, 8개월간 내사 벌여 비위 혐의 포착… 강제 수사 전환
‘담당공무원과 참여 업체간 결탁·입찰가격 담합’ 수사의뢰
영주署, 8개월간 내사 벌여 비위 혐의 포착… 강제 수사 전환

따라서 2일 입찰업체와 관계공무원들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서는 이날 영주 선비세상 사업단의 전기기관차 조달 구매 입찰과 관련, 입찰 참여업체 2곳(충북 청주시와 강원도 태백시)과 관련 공무원 사무실과 집 등 10여 군데를 압수수색 했다.
경찰은 지난해 5월 선비 세상에 운행할 전기기관차를 조달 구매 입찰하면서 2개 업체가 참여, 입찰가 95%에 낙찰 받았다는 담합 의혹 수사의뢰서를 접수받아 지난 8개월 동안 관련 공무원들을 상대로 내사를 벌여왔다.
이 과정에 입찰 자료와 통신자료 등을 수집하면서 입찰 정보가 사전 유출된 정황 등 상당한 비위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시 한 전기기관차 제작 업체 대표 A씨는 “선비세상 무궤도 열차 제작설치 구매와 관련, 담당 공무원과 참여 업체들 간의 결탁, 입찰가격 담합 등의 정황이 발견돼 수사의뢰했다”고 밝혔다.
그는 “낙찰 1위 업체는 전기기관차를 제작하지 않는 업체로 입찰 공고일 2주 전에 갑자기 조달청에 제조 물품 등록을 했고 2위 업체는 행사 기획 및 대행 업체로 지난해 자동차 제작자 등록증을 신규로 발급 받은 업체다”고 했다.
이어 “낙찰 1·2위 업체는 영주시가 입찰 공고를 하기 전부터 수년간 거래를 지속해 온 협력사다. 영주시가 제한 입찰을 통해 사전 정보를 유출하고 업체간 담합 할 수 있도록 판을 짜줬다”고 의혹을 제기했었다.
그에 따르면 조달 입찰에 2개 업체만 참여해 기초금액 8억원에 낙찰 하한율 80.495%보다 무려 1억2천4만원이 많은 94.264%(7억6천500만원)에 낙찰 받았다는 것.
그는 “아반떼 승용차를 1억원에 산 것이나 다름없으며 전문 기술력을 요구하는 구매의 경우 제안 평가를 통해 업체별 생산능력, 기술인력 보유 현황, 납품 실적 등을 면밀히 평가해 선정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그는 “영주시가 긴급공고라는 명목으로 한 달 동안 입찰 참가 자격을 수차례 변경, 혼선을 빚게 했고 입찰과 명확한 연관성이 떨어지는 자동차 제작자 등록증(이하 등록증)을 요구해 입찰 방식에 이의를 제기했으나 영주시가 묵살 했다”고 주장했다.
대다수 업체들은 공고일 이내 등록증과 기타서류, 제조물품 등록을 하지 못해 입찰을 포기한 반면 1·2위 입찰 참가 업체는 영주시의 입찰 자격 변경에도 이런 사실을 미리 알기라도 한 듯 자신들의 사업과 전혀 무관한 등록증을 미리 발급 받아 입찰에 참가했다.
하지만 낙찰업체는 납품기한을 40여일 넘겨 전기차 2세트 가운데 1세트만 납품, 지연배상금 3000만원을 물었고 그나마도 한 달도 안 돼 전기차의 잦은 고장으로 운행에 차질을 빚었다.
영주경찰서 관계자는 “내사를 벌여오면서 비위 정황을 확인하고 강제 수사로 전환했다”며 “수사 중인 사항이라 상세한 범죄사실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