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한용 마스크를 제외하곤 대부분 의약외품인 마스크는 사용 목적에 따라 △보건용 마스크 △수술용 마스크 △비말차단용 마스크로 나뉜다.
이 중 보건용 마스크는 ‘황사·미세먼지 등 입자성 유해물질 또는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마스크로,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성능이 있다.
황사·미세먼지를 차단하려면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좋다. 보건용 마스크 포장에는 입자 차단 성능을 나타내는 KF80, KF94, KF99가 표시돼 있다.
KF는 ‘코리아 필터’(Korea Filter)의 약자로 KF80은 평균 0.6㎛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걸러낼 수 있으며 KF94, KF99는 평균 0.4㎛ 크기의 입자를 각각 94%, 99% 이상 걸러낼 수 있다.
KF 뒤의 숫자가 클수록 차단 효과는 더 크지만 숨쉬기는 어렵거나 불편할 수 있어 황사·미세먼지 수준과 개인별 호흡능력 등을 고려해 택하면 된다.
의약외품 보건용 마스크로 허가받지 않았음에도 황사·미세먼지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광고·판매하는 사례가 있어 구입 시 주의해야 한다.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nedrug.mfds.go.kr) 사이트에서 제품명을 검색해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의약외품 보건용 마스크의 사용기한은 일반적으로 제조일로부터 3년이다.
보건용 마스크를 세탁하면 성능을 유지할 수 없고 사용한 제품은 먼지나 세균에 오염됐을 수 있어 재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착용할 때는 코와 입을 완전히 덮도록 잘 밀착해야 한다. 수건이나 휴지 등을 덧댄 후 사용하면 밀착력이 감소해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어린이, 노약자, 임산부, 호흡기·심혈관 질환자 등 마스크 착용으로 호흡이 불편한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의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식약처는 “황사나 미세먼지가 심할 때는 외출을 되도록 자제하고, 외출 시에는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며, 외출 후 집에 돌아와서는 반드시 얼굴과 손·발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