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대입 수능부터 한국사 독립필수과목 된다
  • 연합뉴스
2017 대입 수능부터 한국사 독립필수과목 된다
  • 연합뉴스
  • 승인 2013.08.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입전형 간소화·대입제도 발전방안’(시안) 발표

▲ 서남수 교육부 장관이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시안)을 발표한 후 2017학년도 수능 개편방안 3가지 중 문·이과 완전 융합안에 대해 밝히고 있다. 연합
 -수능개편안 3가지 핵심 내용 제시
 2016학년도까지는 현행 대입제도의 틀을 유지하되 일부 손질하고, 2017학년도부터는 대입제도를 바꾸기 위해 검토할 수능개편안 3가지를 제시한 것이 핵심 내용이다.
 어떤 경우든 한국사는 2017학년도부터 사회탐구 영역에서 분리해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되, 수험부담을 최소화하도록 출제한다.
 교육부는 2017학년도 수능은 현 골격을 유지하는 방안을 최우선 검토대상으로 제시하면서 문·이과 구분을 일부 또는 완전히 없애는 방안 2가지도 제시했다.
 특히 문·이과 구분을 전면 폐지하고 모든 학생이 공통으로 국어·수학·영어·사회·과학 과목을 보도록 하는 방안을 포함했다.
 이 방안이 최종 선택되면 모든 수능 응시자는 국·영·수·사·과·한국사 6과목을 똑같은 문제로 응시한다.
 
 -수험부담 최소화하도록 출제
 이때 수학은 현행 문과형(수리 나형, 2014학년도 수학 A형) 수준으로 단일화한다. 사회와 과학은 내년부터 고교에 도입되는 공통사회 성격의 `사회’ 와 일부 고교에서 채택 중인 융합과학인 `과학’ 과목에서 출제한다.
 현재 고교 1·2학년이 보는 2015∼2016학년도 수능의 경우 국어와 수학은 현행 수준별 A/B형 체제를 유지한다. 영어는 A/B형 선택을 둘러싼 혼란에 따라 A/B형 구분을 없애고 단일화한다.
 대입에서 수능과 함께 핵심 전형요소인 학생부는 현행 석차 9등급제(상대평가제)를 유지한다.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내년 고1 부터 성취평가제(절대평가제)를 적용하지만, 대입 반영은 2019학년도까지 유예한다.
 특목고·자사고생들이 성취평가제로 지금보다 내신에서 유리해질 가능성은 없어졌다.
 
 -수능 우선선발제도 폐지
 2015학년도부터 수시모집 1·2차를 통합해 9월 초 1차례 원서를 받고, 수능 최저학력기준도 반영하지 않도록 권장한다. 수능 성적을 위주로 뽑는 우선선발도 폐지하도록 권장된다.
 정시모집에서 같은 학과를 다른 군으로 나눠 분할모집하는 것을 금지한다.
 
 -수능 날짜 12월 초로
 11월 첫주인 수능 날짜는 내년엔 11월 둘째 주로 늦추고 2017학년도 이후에는 11월 마지막 주 또는 12월 첫주로 한다.
 대학별 면접고사와 적성고사는 폐지하도록 권장해 대입 전형요소를 수능·학생부·논술(일부 실기) 등 3가지로 간소화한다.
 이를 통해 대학별 전형방법은 수시 4개, 정시 2개 이내로 제한한다. 공통원서접수시스템은 2015학년도 국립대 정시모집을 시작으로 2017학년도에 전면 도입한다.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2017학년도 대입제도는 다음 달 2일부터 권역별 공청회 등에서 의견을 수렴해 10월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사 대입 수능 독립·필수 24년만에 부활
 한국사가 대학입학 시험의 독립·필수과목이 되는 것은 24년 만이다.
 1993학년도까지 시행된 학력고사 때 한국사가 필수였던 것이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다시 필수로 되살아난다.
 특히 다른 사회과목도 낱개로 필수과목이던 학력고사 시절과 달리 2017학년도에는 다른 사회과목은 사회탐구로 묶인 가운데 한국사만 필수가 돼 위상이 높아졌다.

 -2015학년 수시모집부터 성적반영 권장
 교육부는 2015학년도부터 수시 모집에서 수능성적을 활용하지 않을 경우 학생부의 `한국사’ 성적반영을 권장하기로 했다. 공교육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평가에서 한국사 반영 실적도 따질 방침이다.
 한국사의 수능 필수화는 일본의 역사왜곡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역사인식 수준이 낮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의가 시작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언론사 논설위원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수능으로 딱 들어가면 깨끗하게 끝나는 일이지만…”이라고 말해 수능 필수화는 확실시됐다.
 -일본 역사왜곡, 청소년 역사인식 너무 낮아 우려
 역대 우리나라 대학 입학시험이 예비고사(1969∼1981학년도), 학력고사(1982∼1993학년도), 수능(1994학년도∼)으로 바뀌면서 한국사도 사회과목 중의 하나에서 독립 필수과목, 다시 사회탐구 과목 중의 하나로 포함되는 등의 변화를 겪었다.
 1969∼1972학년도 초기 예비고사에서 한국사는 사회과목에 포함돼 출제됐다. 이후 1973∼1981학년도 예비고사 때는 한국사가 사회과목에서 분리돼 필수과목으로 출제됐다.
 1982학년도부터 학력고사가 도입되면서 한국사는 다른 사회과목들처럼 독립·필수과목이 됐고, 이는 1993학년도를 끝으로 학력고사가 폐지될 때까지 유지됐다.
 이에 따라 한국사가 독립된 필수과목이던 시기는 예비고사 중반기인 1973학년도부터 학력고사 마지막 해인 1993학년도까지 20년간이었다.
 1994학년도에 수능이 도입되면서 한국사는 독립과목은 아니었지만 사회탐구 영역에 포함돼 출제됐고 2004학년도까지 이 체제가 유지됐다.

 -2005년 선택형 수능 도입, 한국사 위상 추락
 2005학년도에 학생 선택권과 학습부담 완화를 강조한 선택형 수능이 도입되면서한국사의 위상은 급격하게 추락했다.
 한국사는 사탐 11개 선택 과목 가운데 1개가 됐다.
 대학들이 사탐과 과탐 영역을 계열에 따라 반영하면서 한국사는 이과 계열생들은 고교 저학년 때만 2학기 정도배울 뿐 수능에서는 응시하지 않는 과목이 됐다. 더욱이 2014학년도부터는 사탐 선택과목수가 10과목으로 줄고, 수험생이 최대 선택할 수 있는 과목수가 3과목에서 2과목으로 줄었다.
 
 -한국사 선택비율 해마다 `뚝’
 선택형수능 체제에서 한국사 선택비율은 해마다 떨어졌다.
 2005학년도에는 전체 수능 응시자 57만4218명 가운데 27.7%가 한국사를 봤다.
 사탐 과목 가운데 한국사를 선택한 비율은 46.9%였다. 하지만 2006학년도 전체 수험생의 18.1%, 사탐 영역에서 31.3%만 한국사를 택하는 등 선택비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2013학년도의 경우 전체수험생 대비 7.1%, 사탐대비 12.8%인 4만3918명만 한국사를 응시했다. 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