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일보 = 한동윤] 4월 16일은 세월호가 침몰된 지 1년 되는 날이다. 세월호 유족 일부는 여전히 길거리에 머물고 있다. 정부가 배상·보상금 규모를 확정하고 유족들에게 전달하겠다고 했지만 일부 유족은 광화문과 청와대 앞으로 행진하고 있다. 그들의 요구가 한두 가지는 아니지만 크게는 “세월호를 인양하라”는 것으로 요약된다.
세월호 인양과 관련해서는 찬반 의견이 갈린다. 선체 인양에 드는 비용도 비용이지만 인양 과정에서 발생할지 모를 또 다른 인명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그러나 여론은 “인양”이 다수다. 세월호 유족들은 두말할 것도 없다. 이 같은 여론을 감안한 듯 마침내 박근혜 대통령이 “선체 인양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세월호 인양과 관련해 ‘기술 검토 후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종 결정하겠다’는 입장이었다. 박 대통령이 6일 “선체 인양과 관련해 관련 부처와 기관이 협력해서 기술적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며 “인양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결론이 나면 실종자 가족과 전문가들의 의견과 여론을 수렴해 선체 인양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말한 것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다만 최근 세월호 유족들의 가두시위를 감안하면 ‘인양’으로 가닥이 잡힐 가능성이 높다.
오는 16일로 세월호 1주기가 다가오는 가운데 세월호가족협의회와 세월호국민대책회의는 세월호 선체 인양과 함께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 폐기와 배·보상 절차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있다. 새누리당 내에서도 4·29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지도부는 물론 초·재선 의원 그룹 등에서 “세월호를 인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세월호 인양에는 최소 900억원에서 최대 2000억원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인양 기간은 현지 기상을 감안할 때 작업할 수 없는 날짜를 고려해 최소 12개월에서 최장 18개월이 걸릴 것으로 분석했다. 어마어마한 작업이다.
김 의원이 “인양 반대”를 주장하는 이유는 인양할 무게가 1만톤이 넘기 때문에 원형을 유지한 채 인양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절단 인양하는 것은 인양의 의미가 퇴색된다고 주장했다. 둘째 비용 문제다. 민간선박 인양은 원칙적으로 선사의 책임이기 때문에 천문학적 인양비용을 국민이 부담하는 데 반대라는 것이다. 셋째 “유속이 빠르기로 유명한 맹골 수도에서 잠수사 2명이 희생됐고 강원소방대원 5명이 헬기추락으로 사망했다”며 추가 희생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 주장에 대해 유경근 가족대책위 집행위원장은 지난 4일 집단 삭발식에서 마이크를 잡고 “김진태 의원에게 욕을 한마디 하고 싶은데 괜찮겠나”라고 묻고, 유족들이 “괜찮다”고 하자 “배 안에 아홉 명이 있는데 추념공원을 만들자는 거냐. XXX야, 당신 자식 잃고 나서 가슴에 묻어라. 가슴에 묻는다는 게 무슨 의미인지 아나. 죽을 때까지 찢어지는 마음으로 살아야 하는 것이다. 눈에 띄면 찢어 죽일 것”이라고 퍼부었다. 유가족들도 “김진태 이 XXX야!”라고 외쳤다.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은 6일 세월호 인양과 관련해 “여론조사가 가장 합리적인 방식”이라고 말했다. 선체 인양에 따른 비용과 시간, 위험도 등을 국민에게 설명한 뒤 그래도 인양 요구가 많으면 인양하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유 장관 발언은 정부가 세월호 인양에 여전히 미온적인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다. 6일 한국일보의 ‘세월호 1주기 여론조사’ 결과, 772명(77.2%)이 ‘세월호 선체 인양에 찬성한다’고 응답했기 때문이다. 지난 2월 한국갤럽 조사에서도 61%가 찬성 입장을 밝힌 것과 비교해볼 때 두 달 만에 15%포인트 이상 높아진 수치다. 인양 반대는 17.9%(179명)에 불과했다.
여론조사 결과는 세월호 1주기에도 국민들의 ‘세월호 트라우마’가 여전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세월호 유족들의 상처는 더할 것이다. 세월호 트라우마를 탓할 필요는 없다. 세월호를 기억해야 제2, 제3의 세월호가 나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