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방폐장 등 위험시설물 가동되고 있는데… 경북 강진 무방비
  • 김진규·이영균·김홍철기자
원전·방폐장 등 위험시설물 가동되고 있는데… 경북 강진 무방비
  • 김진규·이영균·김홍철기자
  • 승인 2016.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8일 오전 지진으로 피해를 본 첨성대의 모습. 첨성대는 지난 12일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으로 기존보다 북쪽으로 2㎝ 더 기울고, 상부 정자석 남동쪽 모서리가 5㎝ 더 벌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연합

[경북도민일보 = 김진규·이영균·김홍철기자]

도내 공공시설물 내진율 36%
학교시설 경북 18.7%·대구 31.6%

경북 공공시설물 가운데 내진 기능(진도 6.0 이상의 지진에서 견딜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시설은 전체의 3분의 1을 겨우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에는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내진 기능을 갖춰야 하는 시설물은 3885곳이다. 이 가운데 내진 기능을 담은 시설은 1395곳으로 내진율은 36%에 불과하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공공건축물, 교량이나 터널 등 도로시설 내진율은 더 떨어졌다.
도와 23개 시·군 청사와 산하 기관 건물 653곳 가운데 내진 기능이 있는 건물은 222곳(34%)이다.
또 교량은 2571곳 가운데 799곳(31%)에만 내진 기능을 적용했다. 터널은 29곳 가운데 13곳(41%)만 내진 기능을 갖췄다.
환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병원도 48곳 가운데 23곳(48%)만 내진 기능을 적용했다.
도내 공공시설물 가운데 내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매립시설(저류시설·치수시설·처리시설·부대시설·매설관로)이다. 전체 37곳 가운데 30곳(81%)이 내진 기능을 갖췄다.
하수처리시설도 190곳 가운데 148곳(78%), 폐수처리시설은 4곳 가운데 3곳(75%)에 이른다.
나머지 내진율은 항만시설 56%, 수도시설 38%, 어항시설 62% 등으로 나타났다. 도내에서는 구미에 유일하게 있는 공동구 시설도 내진성능을 갖췄다.
경북도내 학교 시설물 내진 적용 비율은 18.7%에 불과하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초·중·고교와 특수학교 내진 설계 대상 건물 2654채 가운데 내진 설계를 하거나 내진 보강을 한 건물은 496채로 18.7%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초등학교 내진 적용률은 16.9%, 중학교는 18.6%, 고등학교는 20.8% 등이다.
도 교육청은 지난해 46억원을 들여 30개교 36채에 내진 보강을 했고, 올해도 66억원으로 17개교 19채에 보강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대구 초·중·고교와 특수학교 시설물 1137채 가운데 내진 설계 또는 내진 보강을 한 건물은 359채로 31.6%에 이른다.


문화재 지진 안전 초비상
첨성대 2㎝ 기울어… 23건 피해
문화재청, 안전진단 결과 발표

이번 강진으로 경주 등 영남 지역 문화재들이 크고 작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재청은 13일 경주 일대에서 문화재 안전 상태를 점검한 결과 국가지정문화재 13건과 시도지정문화재 10건에서 피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육안상 피해가 확인되지 않았던 첨성대(국보 제31호)는 기존보다 북쪽으로 2㎝ 더 기울고, 상부 정자석 남동쪽 모서리가 5㎝ 더 벌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김덕문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장은 첨성대를 조사한 뒤 “지진 영향이 있기는 있었다. 그러나 파손이라고 하긴 어렵고 물체가 움직인 정도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지진은 경주를 대표하는 사찰인 불국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다보탑(국보 제20호)은 일제강점기에 파손돼 접합했던 상층부 난간석이 내려앉았고, 대웅전(보물 제1744호)의 지붕과 용마루, 담장 기와가 일부 파손됐다.
관음전 담장 기와와 회랑 기와도 부서졌다.
또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제30호)과 기림사 대적광전(보물 제833호)에서는 실금이 관찰됐고,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양동마을의 독락당(보물 제413호)도 담장 기와가 파손됐다.
이외에도 단석산 마애불(국보 제199호)의 보호각 지지대 하부에 균열이 발생했고, 이견대(사적 제159호)와 오릉(사적 제172호)의 기와가 훼손됐다.

경주 인근 지역에서는 청도 운문사 동(東) 삼층석탑(보물 제678호) 꼭대기에 있는 옥륜부가 떨어져 나가고, 서(西) 삼층석탑이 기운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진입로에 낙석이 발생했던 석굴암(국보 제24호)에서는 이상이 확인되지 않았다.
시도지정문화재 중에는 육의당, 서악서원, 상서장, 종오정, 외동 수봉정, 충의당, 종덕재 정당, 오릉 숭덕전, 도봉서당, 경주향교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문화재청은 점검 결과를 토대로 긴급보수비 23억원을 지원하고 분야별 전문가로구성된 특별안전점검반을 운영할 방침이다.
아울러 대한불교조계종과 함께 20~26일까지 영남 지역 건조물 문화재 52건을 대상으로 피해 상황을 살필 계획이다.
학계 관계자는 “문화재 피해 상황을 수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향후 일어날지 모르는 지진에 대비해 일부 문화재는 내진 조처를 즉시 시행해야 한다”며 “정기적으로 안전진단을 하고 재난에 대비한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후쿠시마 원전 재앙 남의 일 아니다’
 지진공포 현실화… 국내 원전 영남 집중
 영덕·고리원전 추가건설 반대 거세질 듯

이번 경주에서 일어난 강진의 엄청난 위력을 경험한 부산, 울산, 대구 등 영남권 주민들에게 지진 공포가 현실화 되고 있다.
더구나 부산과 울산, 경북 월성에는 국내 원전의 4분의 3 가량이 밀집해 있어 더욱 그렇다.
경주에는 중수로인 월성1~4호기와 경수로인 신월성1·2호기가 가동되고 있다.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는 6개 원전(고리1~4, 신고리1·2호기)이 있다. 고리원전 바로 인근 울산 울주군 서생면에서는 지난해 완공한 신고리 3·4호기가 시운전 중이다.
여기다 정부가 건설을 승인한 신고리 5·6호기까지 들어서면 이 일대에만 16개의 원전이 가동되는 셈이다.
원전이 이처럼 집중돼 있지만 이 곳이 더 이상 지진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지난 12일 저녁 강진에서 확인되면서 원전 안전에 대한 주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이번 지진은 지난 7월 5일 오후 8시 23분 울산 앞바다에서 규모 5.0 지진이 발생한 지 2개월여 만에 일어났다.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 강타하자 원전 주변 주민들은 “앞으로 원전 내진 설계이상의 지진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누가 장담할 수 있느냐”며 불안감에 빠졌다.
더민주 부산시당은 이날 낮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얼어 국민안전을위해 원전 안전대책과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촉구했다.


경주지진 피해 복구 총력전
특별교부세 지원·안전진단 지원팀 파견

경주 강진 피해복구작업은 추석연휴 마지막 날인 18일에도 계속됐다.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 등 70명으로 구성된 위험도 평가단은 경주 일대 주택과 시설물을 확인하며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대대적인 점검을 하고 있다. 육군 50사단 장병 307명과 자원봉사자 1500여명의 지원으로 황남동 한옥마을 670동의 금이 간 벽과 부서진 한옥 지붕이 우선 복구됐다.
포항 일대 도로의 낙석은 제거됐다.
말했다.
경주 일대 문화재 긴급점검과 복구를 위해 문화재청은 예산 23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진앙인 경주 내남면 인근 저수지인 화곡지, 사곡지, 토성지에 기술 진단을 하고 있다.
국민안전처는 18일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피해를 본 시설의 52.8%는 응급조치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이번 지진으로 부상해 입원한 피해자 23명 가운데 9명이 귀가해 현재 14명이 입원 중이다.
시는 특별교부세 등 지원대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