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트로와 김정일
  • 경북도민일보
카스트로와 김정일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06.0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경제 파탄낸 1인 집권
 
 `과도한 스트레스’로 위장암에 걸려 동생에게 잠정적으로 권력을 이양한 쿠바의 카스트로는 북한 김정일을 연상시킨다. 카스트로는 1959년 이른바 쿠바혁명을 통해 권력을 잡은 후 지금까지 47년간 쿠바를 철권통치로 지배해왔다. 반세기 이상 북한을 통치하고 있는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독제체제와 유사하다.
 북한과 쿠바는 그밖에도 여러 면에서 닮았다. 가장 비극적인 공통점은 1인 장기 집권으로 국가경제가 파탄되어 세계 최빈국 처지로 전락한 점이다. 지금 지구상에는 5개 공산국가가 남아 있다. 쿠바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4개 공산국가는 모두 아시아에 있다. 북한, 라오스, 베트남, 중국이다. 그러나 중국과 베트남은 시장경제를 도입하여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어 여타 공산국가와는 다른 길을 걷고 있다. 공산국가가 아니면서도 전대미문의 독재를 하는 미얀마가 오히려 북한과 유사하다.
 카스트로라는 이름이 연상시키는 건 쿠바 위기다. 카스트로는 1961년 사회주의를 선포하고 1,100명의 망명 군인을 체포하는가 하면 이듬해인 1962년 10월 22일 미사일 기지 건설을 선언,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과 전면 대결을 선언했다. 미국에 대한 선전포고에 버금가는 이 충격적 조치의 배후에는 소련의 니키타 흐루시초프 공산당서기장이 있었다.
 미국의 뒷마당에 건설되는 소련 미사일 기지를 케네디는 결코 허용할 수 없었다. 케네디는 쿠바를 둘러싼 해상을 봉쇄하고 쿠바로 가는 모든 선박을 차단했다. 미사일 부품을 싣고 가는 선박을 나포하기 위한 것이었다. 세계는 미국과 소련이 정면충돌하는 핵전쟁 1보 직전까지 갔으나 흐루시초프의 후퇴로 위기는 해소되었다.
 이 사태는 7월 5일 김정일이 7발의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의 상황과 대조된다. 쿠바 위기 때는 케네디 같은 지도자가 있어서 미국을 구했다. 그러나 김정일의 미사일 놀이가 자행되었을 때 한국에는 케네디 같은 지도자가 없었다. 김정일의 비위만 맞추는 노무현 대통령이 있을 뿐이다. 그는 미사일 사태에 침묵을 지켰다. 대한민국 안보가 북한 미사일의 인질이 된 사태를 방관했다.
 김정일과 카스트로는 미국과의 악연에서 유사하다. 김은 핵무기 개발로 미국의 속을 썩이고 카스트로는 일관된 반미노선으로 워싱턴을 괴롭힌다. 이란이 핵 개발을 고집해 미국과 새로운 악연을 만들고 있다. AP 통신에 의하면 카스트로는 위암수술을 받는 동안 대통령 권한을 국방장관으로 있는 동생에게 `일시적으로’ 이양했다. 아들에게 권력을 넘겨준 김일성이나 동생에게 통치권을 위임한 카스트로나 난형난제다.
 카스트로의 성명은 복잡한 수술을 받고 `수 주간’ 휴식이 필요해 권력을 위임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카스트로의 동생이며 후계자인 라울 카스트로에 대한 권력이양은 어디까지나 `잠정적인 성격의 조치’라고 말했다. 동생 측으로부터는 아직 아무 말이 없다. 카스트로는 8월 13일 쿠바혁명 50주년 기념일에 할 예정이었던 자신의 80회 생일잔치를 12월 2일로 연기했다. 그는 쿠바공산당 제1서기 직무도 동생에게 이양했다. 성급한 사람들은 카스트로 시대가 사실상 끝났다고 분석했다. 미국 플로리다 주에 집단 거주하는 수많은 쿠바 망명자들은 벌써부터 `쿠바 해방’을 축하하기 시작했다.
 김정일 독재체제에서 도망친 탈북자들의 눈에는 부러운 광경이다. 카스트로가 수술을 성공리에 마치고 원상으로 돌아올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의 시대가 어차피 종말에 도달한 엄연한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김정일은 미사일 소동 이후 공석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의 `잠적’을 두고 추측이 부분하다. 중병설, 군부와의 마찰설, 북한 권력구조상의 이변설 등이다
 어쨌든 최근 북한의 행동은 좀 이상하다. 김정일은 미사일 발사 때문에 대북 원조를 중단한 한국의 조치에 대한 보복으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중단했다. 6자 회담에 복귀하라는 G8 정상들의 요구도, 아시아 지역안보포럼(ARF) 10개국 외무장관들의 설득도 거부했다. 7월 31일에는 DMZ 아군 초소에 총격을 가했다. 참담한 수해를 입고 복구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남조선 `당국’의 원조는 거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간원조는 받겠다고 했다. 국제사회로부터의 완전 고립과 혹심한 수해 속에 함몰된 2,200만 북한 인민의 앞날이 캄캄하다.<뉴스앤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