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일보가 이끄는`안동·예천 新경북 시대’
  • 경북도민일보
경북도민일보가 이끄는`안동·예천 新경북 시대’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14.03.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북도민일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국 시도(市道) 가운데 신생아(新生兒)보다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역이 경상북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천, 안동, 영주, 영천, 상주, 문경, 군위,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청도, 성주, 예천, 봉화, 울진, 울릉 등 무려 18개 시·군이 해당된다. 전남의 16개, 경남의 11개 시·군보다 많다. 경북에서는 어린아이 한 명 태어날 때 더 많은 주민이 세상을 하직한다는 의미다. 또 전국 234개 시·군 가운데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경북 영양(英陽)이 뽑히는 불명예까지 기록했다.
 경상북도는 1000년 신라 사직(社稷)의 본산이다. 3국 통일의 기운이 서려있는 곳이다. 조선 영조(英祖) 때의 실학자 이중환(李重煥)은 택리지(擇里志)에 “조선반도 인재의 절반이 영남에 있고, 영남 인재의 절반이 선산에 있다”고 했다. 대한민국 산업화 역시 박정희와 경북을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그런 웅도(雄道) 중의 웅도가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낙후된 오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경북 1인당 개인소득 16개 시·도 중 11위
  경북은 전국 1위의 면적과 6위의 인구, 전국 1위의 무역수지(323억7000만 달러)와 전국 4위의 지역총생산(1인당 3082만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경북의 1인당 개인소득은 2012년 기준 1342만원으로 16개 시·도 가운데 11위다. 경북의 산업에서 농업·어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16.5%로 전남 13.8%, 충남 13.2%보다 높다. 그만큼 공업화가 안 됐고 낙후됐다는 의미다. 30일로 창간 10주년을 맞는 경북도민일보는 `낙후(落後) 경북’의 활력을 되살려내야 할 절박함을 온몸으로 느낀다.
 낙후된 경북에서도 경북 북부 지역은 더 참담하다. `육지속의 섬’으로 갇혀 있다. 낙동강과 백두대간 보존을 이유로 각종 개발행위를 규제함으로써 지역발전이 정체되고, 그에 따른 인구유출로 공동화(空洞化) 현상이 심각하다. 경북 북부지역의 지역내 총생산은 9조3593억원으로 경북 전체의 19%에 불과하다. 최근 20년간 전체 인구의 57.9% 감소했다. 노령화 지수가 무려 148.3%다. 행정구역으로는 존재하되 거주지로서 `마을’ 기능을 상실해가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의성군(281.7%), 영양군(242.4%), 예천군(238.3%), 봉화군(230.0%)의 노령화 비율은 230%를 상회한다. 어린아이는 말할 것도 없고 젊은이를 찾아보기도  힘들다.
 경북북부지역 11개 시·군의 평균 재정자립도는 14.4%로 경북 평균 34.8%보다 훨씬 낮다. 봉화군과 예천군은 각각 9.0%, 영양군 10.2%, 영덕군 11.6%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경북 동북부가 낙후된 이유 중의 하나로 도청(道廳)이 도의 남단인 대구(大邱) 광역시에 위치한 것을 들고 있다. 가뜩이나 각종 규제로 개발이 정체되는 가운데 지역 발전이 경북도의 남쪽에 치우친 대구를 중심으로 진행되다보니 투자에서 소외되고 교통이 불편한 북부지역이 낙후되고 인구유출이 가속화된 것이다. 대구광역시 인근 시·군이 대구와 함께 동반 발전된 것도 아니다. 대구 주변 군위군과 청도군은 빠른 속도로 대도시로 인구유출이 진행됐다. 그러다보니 지역경쟁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교통사정을 제외하면 대구 인근 시·군도 경북 북부지역과 별다를 게 없다.
 대구광역시가 인근 시·군의 성장잠재력을 박탈해가면서 크게 발전성장한 것도 아니다. 2012년 대구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2632만원으로 16개 시·도 가운데 꼴찌에서 세 번째다. 경북 북부지역과 인근 시·군의 성장잠재력을 흡수했으면서도 정작 대구가 성장도, 발전도 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구가 경북과 `윈윈’, `상생(相生)’하는 대신 `제살 깎아먹기’를 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 같이 참담한 현실 속에서 경북도청이 연말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로 이전한다. 명실공히 `안동·예천 경상북도 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동시에 낙후된 경북 북부지역과 역시 개발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경북 동해안의 균형발전을 꾀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았다.
 도청 이전에 따른 대구시 박탈감 배려해야
 도청이 이전하면 150개 유관기관이 `안동·예천’으로 옮겨야 한다. 현재 91개 기관 2533명이 이전 의향을 밝힌 상태다. 도청 이전을 계기로 상주~안동~영덕 고속도로 건설, 세종시와 도청 신도시 연결 고속도로, 안동~포항 도로 확장 등 교통 여건이 크게 개선된다. 김관용 도지사는 “이미 시작된 도로·철도망 사업뿐만 아니라 새로운 대형 SOC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정부정책과 연계하는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 사업은 봉화~영덕 간 지방도 918호선 국도 격상, 국토 동부내륙 관통 영천~봉화~태백~양구 간 남북 6축 고속도로 중 영천~청송~봉화 120㎞구간 조기건설, 영천~봉화구간 예비타당성조사, 새만금~대구~포항간 동서7축 고속도로 중 미개통 구간인 대구~무주 간 86㎞ 구간 기본계획수립 등이다. 도청 이전과 함께 낙후된 경북 북부지역의 상전벽해(桑田碧海)를 가능하게 할 프로젝트들이다.
 `안동·예천 경상북도 시대’는 경북 북부와 함께 낙후(落後)의 대명사인 경북 동해안을 기회와 성공의 땅으로 만드는 또하나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 동해안 주민들은 지난 10여 년 동안 국토 서남해안의 눈부신 발전과 성장을 지켜보면서 낙후된 동해안의 현실에 낙담해왔다. 2007년 대선에서 경북 영덕군이 이명박 후보에게 전국 최고 지지율을 안긴 것도 낙후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이었다.
 경북 동해안이 `안동·예천 경상북도 시대’에 간절히 바라는 것은 △포항 영일만항 확충과 △동해중부선 철도 조기완공 △동서6축 고속도로 건설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센터 건설 등이다. 대형 국책사업에서 철저히 소외된 포항 영덕 울진이 타지역과 균형발전하기 위해서는 예산지원이 꼭 필요한 사업들이다.
 경북도민일보는 `안동·예천 경상북도 시대’를 맞아 경북 북부지역과 포항·영덕·울진 지역이 경북 전체 성장발전의 축(軸)으로 우뚝 서기를 바라면서 이를 위한 감시와 고언(苦言)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도청이 대구에서 안동·예천으로 이전함에 따라 도청 접근이 오히려 어려워진 경북 동남권 120만 주민을 위한 `동남권출장소’나 `해양수산출장소’ 신설이 적극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믿는다. 그 입지(立地)는 경북 최대도시로 해양수산, 첨단과학, 산업 등 행정수요가 많고, 동남권 전체와 수도권 접근성이 양호한 포항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 아울러 폐쇄된 예천공항의 재개장도 `안동·예천 경상북도 시대’를 축복하는 선행조건이다.
 `안동·예천 경상북도 시대’에도 그늘은 있다. 경북도청이 이전하는 데 따른 대구광역시의 공백이다. 대구경북연구원 조사 결과, 도청 이전으로 상주인구는 1만4000명 감소, 생산감소액은 3300억원, 일자리는 4000개 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수치보다 대구시민들이 느낄 박탈감은 훨씬 크다. 따라서 이전하는 경북도와 도청을 내보내는 대구가 상생할 수 있는 `윈윈’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데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경북 지킴이’를 자부하며 10년 전 창간한 경북도민일보는 `안동·예천 경상북도 시대’ 개막을 반기면서 경상북도가 3국통일의 위업을 이어받아 `통일대박’을 열어갈 수 있도록 배전의 노력을 다할 것을 도민과 독자들 앞에 겸허히 다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