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항공기 추락…1명 생존
  • 경북도민일보
美 항공기 추락…1명 생존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06.08.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승객·승무원 50명 탑승…49명 사망
  사고 원인 잘못된 활주로 진입 추정

 
 미국의 켄터키주 렉싱턴의 공항 인근에서 27일 오전(이하 현지시각) 승객과 승무원 50명을 태운 미 콤에어(Comair) 소속 CRJ-200 중형 제트여객기 1대가 이륙 직후 곧바로 추락, 화재에 휩싸여 탑승자 대부분이 사망했다고 미국 CNN 방송이 긴급 뉴스로 보도했다.
 CNN은 이날 캐슬린 버겐 미 연방항공국(FAA) 대변인의 말을 인용, 사고기에는 승객 47명과 승무원 3명이 타고 있었고 추락 사고는 이날 오전 6시7분에 발생했다고 전했다.
 미 언론들은 이번 사고가 미국에서 발생한 항공 사고 가운데 지난 6년 이래 최악의 것이었다고 보도했다.
 버겐 대변인은 이번 사고로 탑승자 50명 전원이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1차 발표했으나 항공당국은 구조대가 승무원 1명을 구출해 내는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출퇴근용 항공기인 사고기는 조지아주 애틀랜타로 출발하기 위해 이날 비가 약간 내리는 가운데 미국 중부 켄터키주 렉싱턴 블루 그래스 공항을 이륙했으나 공항에서 1마일 정도 떨어진 숲속에 추락했다.
 경찰측은 기자회견에서 “추락 직후에도 항공기가 큰 손상을 입지는 않았으나 곧바로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항공기가 추락한 원인 및 경위는 아직 자세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다. 렉싱턴 경찰 대변인은 “사고 항공기가 지정된 활주로가 아닌 다른 활주로를 이용했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국은 여객기에서 회수된 비행기록장치를 워싱턴 DC로 보내 긴급 해독작업에 들어가는 등 사고원인 조사에 착수했으나 일단 테러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고 여객기가 이날 이륙중 활주로를 잘못 선택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사고가 난 블루 그래스 공항 주 활주로는 길이가 7천 피트(약2천130m)에 달하나사고 여객기는 사고후 공중 관찰 결과 주 활주로가 아닌 길이 3천500 피트(약1천66m)의 주간 전용 보조 활주로 끝에서 발견돼 잘못된 활주로 선택이 사고원인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고여객기종이 최소한 4천500-5천 피트(약1천370-1천520m) 길이의 활주로를 필요로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0년3월 대만의 치앙 카이-섹 공항에서는 싱가포르 항공 여객기가 활주로를 잘못 들어 착륙하면서 충돌사고가 발생해 83명이 사망했었다.
 FAA 및 교통안전국(TSA) 대변인은 각각 브리핑에서 “이번 사고가 테러와 연관된징후는 아무 것도 없다”면서 “기술적인 문제 이외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정보가 없다”고 밝혔다.
 현재 켄터키대학 병원에는 1명의 생존자가 긴급 치료를 받고 있으나 중태이며 다른 생존자가 이 병원에 실려온 경우는 없다고 병원측은 밝혔다.
 켄터키 공항은 사고 직후 약 3시간 가까이 일시 폐쇄됐으나 이날 오전 9시쯤 다시 개방했다.
 다나 펠리노 백악관 부대변인은 “메인주 해안 여름 별장에서 주말을 보내고 있는 조지 부시 대통령이 이번 사고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면서 “대통령은 이번 사고로 목숨을 잃은 탑승자들 및 유가족들과 함께 애도를 표하며 깊은 슬픔을 감출 길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콤에어 항공은 신시내티 교외 얼랜저에 있는 미국 델타 항공사 계열사이다. 사고 기종은 최대 50명을 태울 수 있는 쌍발 엔진 제트기라고 델타항공 웹사이트는 밝히고 있다.
 연합 전문가들은 사고 여객기가 이날 이륙중 활주로를 잘못 선택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사고가 난 블루 그래스 공항 주 활주로는 길이가 7000피트(약2130m)에 달하나사고 여객기는 사고후 공중 관찰 결과 주 활주로가 아닌 길이 3천500 피트(약1066m)의 주간 전용 보조 활주로 끝에서 발견돼 잘못된 활주로 선택이 사고원인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고여객기종이 최소한 4천500-5천 피트(약1370-1520m) 길이의 활주로를 필요로 한다고 지적했다.
 FAA 및 교통안전국(TSA) 대변인은 각각 브리핑에서 “이번 사고가 테러와 연관된 징후는 아무 것도 없다”면서 “기술적인 문제 이외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정보가 없다”고 밝혔다. /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편집인 : 모용복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