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가 주무르는 공공요금의 인상 시기는 7월 1일로 잡혀 있다. 이날부터 대중교통요금과 상·하수도요금 따위를 올리겠다고 나선 지자체들은 나름대로 방어논리를 펴고 있다. 진작에 올려야 했지만 물가 압박을 조금이라도 덜어보려고 인상 시기를 미룬 것이어서 더는 늦출 여력이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니 주민들이 이 충정을 이해해달라는 소리같이 들린다. 이에 따라 포항을 비롯한 7개 시의 시내버스 요금은 일반인 기준 1000원에서 1200원으로 오른다. 교통료는 일례일 뿐이다. 상·하수도료, 정화조 청소료, 일반분뇨 청소료를 줄줄이 올리는 자치단체들이 한둘이 아니다. 도시가스요금에 이어 전기요금 또한 오를 게 뻔하다. 7월부터 연료비 연동제가 도입될 터이기 때문이다.
식품 물가는 이미 물가 상승을 앞장서서 이끌어가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서만도 자장면을 비롯한 중국음식류와 직장인들이 점심메뉴로 많이 고르는 음식값들이 껑충껑충 뛰어 올랐다. 지난 겨울 구제역 여파로 삼겹살값은 1년 사이에 14.5%나 치솟았다. 중국음식값을 비롯한 외식 메뉴 값은 밀가루, 설탕값의 급등을 핑계 삼는다. 여기에 석유류값 상승까지 겹쳤다. 실타래 엉키듯 한 구조다. 안팎으로 죄어들어오는 물가 압박은 백성들의 삶만 고달프게 하고 있다.
그러니 힘 없는 백성들은 물가당국만 쳐다볼 수밖에 없다. 당국은 하반기엔 물가 상승 압력이 낮아질 것이라고 낙관하지 않았던가. 먼 앞날은 제쳐놓더라도 당장 연간 물가동향조차 제대로 맥을 짚지 못하고 있다는 소리다. 그런데도 정부는 지방공공료 인상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겠다나 보다. 이미 칼을 뽑아든 지자체들에겐 잘 먹혀들지도 않을 소리같이만 들린다.
그런데도 국민들이 쳐다볼 데라고는 정부밖에 없으니 답답하고 딱한 노릇이다. 치솟는 물가를 바라보며 한숨이나 내쉬는 짓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국리민복을 위해 뼈를 갈겠다고 했으니 그 약속을 지킬 때야말로 바로 이런 위기가 아닌가. 희떱게 약속은 했지만 보여줄 능력이 없으면 숫제 손털고 가만히 앉아있는 게 도와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