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로한담
  • 정재모
백로한담
  • 정재모
  • 승인 2012.09.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계림유사(鷄林類事)에서 고려어 어휘 353개를 들어 설명하는 항목 중에 `霜露皆曰雪(상로개왈설)’이란 게 있다. 서리와 이슬 모두 `설’이라 이른다는 뜻이다. 여기서 설(雪)은 뜻을 취한 글자가 아니라 음을 빌리려고 사용한 글자다. `서리’의 맨 뒤 모음 `l’를 제거한 음과 `이슬’의 맨 앞에 붙은 모음 `l’를 제거하면 남는 음은 각각 `설’과 `슬’이 된다. 이 둘이 같은 말이라니, 고개를 갸우뚱할지 모르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같은 음운임을 알 수 있다. 지금은 모음첨가 현상으로 약간 달라졌지만 말이다.
 이처럼 고려어의 편린을 살짝 엿보게 해주는 계림유사는 널리 알려져 있듯 고려 숙종 8년(1103년) 서장관 신분으로 사신을 따라왔던 북송(北宋)의 손목(孫穆)이 편찬했다. 이 책은 지금으로부터 9백여 년 전의 우리 선조들이 이슬과 서리를 같은 말로 불렀다는 걸 증언한다. 달리 말해 고려인들은 그 두 가지를 같은 것으로 인식했던 거다.

 수증기로 포화되지 않은 공기도 지표의 복사(輻射;열방출)로 인해 냉각되면 결국 수증기 포화상태에 도달하는데, 이때 포화상태를 만들고 난 여분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이 되면서 풀잎이나 돌 따위에 엉긴다. 이것이 이슬이다. 만약 공기온도가 섭씨 0도 이하로 냉각되면 그곳 여분의 수증기는 액화단계를 건너뛰어(승화) 얼음 결정체로 변하니 이것이 서리다. 기온 조건만 다를 뿐 생성원리가 같은 것이다. 수증기가 찬 기운을 받아 물방울을 지어 엉기는 것을 뜻하는 `서리다’라는 현대어 동사도 그 어원은 여기에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자연현상에 대한 관찰과 과학적 이해가 없다면 사람들은 `이슬이 얼어붙은 것이 서리’라고 생각하기 십상일 거다. 물론 이런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건 `서리’가 아니라 `동무(凍霧)’라 부름으로써 엄격히 구분한다. 고려 때 혹은 그 이전에 우리네 선조들은 이슬과 서리가 같은 것임을 이미 알고 있었던 듯하다. 오늘이 마침 가을절기를 상징하는 날, 흰서리가 맺힌다는 절기, 1년 24절기 중 열다섯 번째인 백로(白露)다. 그래 생각이 닿아 끼적여 보는 이슬 관련 한담(閑談)이거니와 이슬과 서리가 생성원리상 동일한 것임을 이미 알았던 우리네 선조들의 자연과학 지식수준이 새삼 놀랍다.
  정재모/논설주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