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후보만 빼고 모두 바꿔라”
  • 경북도민일보
“박근혜 후보만 빼고 모두 바꿔라”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12.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안철수 후보단일화 위기가 진짜 위기

 인혁당 발언으로 지지율 하락 朴
 文-安 후보단일화 대비 위해
`문제아’ 황우여체제 탈피해야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의 고심이 깊다. 새누리당과 `친박’ 진영의 위기감도 팽배하다. 대선 주자로서 `부동의 1위’를 고수해온 박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하고, 심지어 무소속 안철수, 민주당 문재인 후보에 역전 당했다는 일부 여론조사까지 나와  초비상 상태다. 박 후보가 왜 이런 상황에 봉착했을까?
 박 후보가 대선 후보로 확정되고 `국민대통합’ 행보에 나섰을 때만 해도 `박근혜 대세론’은 탄탄했다.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묘소를 찾고 봉하마을로 노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씨를 찾으면서 `과거와의 화해’도 공감을 얻기 시작했다. 그러나 박 후보가 발목이 잡히기 시작한 것은 바로 박 후보가 `화해’를 꾀한 그 `과거’로부터다. MBC 라디오에 출연해 `인혁당’ 사건과 관련한 발언이 박 후보의 `대통합’ 행보를 흐트러뜨리고 지지율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었다.
 박 후보는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두개의 인혁당 판결이 있었다”며 “인혁당 사건에 대한 판단을 역사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혁당 주모자들에 대한 1975년 `사형판결’과 2007년 `무죄판결’을 별개로 간주한 것이다.
 과거 판결을 부정한 새로운 판결이 우선하는 사법체계를 도외시한 발언이라는 비난이 들끓었다.

 `박근혜=유신’으로 몰아붙이려는 야당은 물론 인혁당 관계자와 유족들은 벌떼같이 들고 일어났고, 인혁당 사건을 어렴풋이나마 기억하는 40대의 `이탈’이 시작됐다. “아버지(박정희) 시대에 고통을 받은 분들께  진심으로 사과한다”는 평소 박 후보의 과거에 대한 총체적 사과마저 무의미해지고 말았다. 박 후보가 “5·16과 유신이 헌법의 가치를 훼손했다”고 공식 사과해야했던 것도 바로 이 `인혁당 발언’ 때문이다.
 물론 이에 앞서 친박계 현영희 의원과 현기환 전 의원의 비례대표 공천헌금 의혹으로 `친박’의 문제점이 드러난 게 사실이다. 이어 홍사덕 전 의원의 `5000만원’ 불법자금 수수 의혹, 송영선 전 의원의 노골적인 `현금요구발언’ 등도 치명상을 입혔다. 이 모두 `친박’의 자해행위에 해당된다. 최근에는 서울대 송호근 교수를 선거대책위원장으로, 시인 김지하를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 영입한다는 섣부른 입놀림으로 망신을 당했다. 당사자들의 최종 승낙이 있기 전까지 `극비’로 취급해야 할 `인사’ 문제를 졸속 접근했다는 증거다. 당연히 박 후보 주변의 실책이다. 여기엔 박 후보 본인도 포함된다.
 추석 연휴를 계기로 박 후보 지지율이 바닥을 찍고 상승하기 시작했지만 더 큰 위기가 남아 있다는 데 공감한다. 문재인-안철수 후보단일화가 그 것이다.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의 악몽을 잊지 못하는 것이다.
 친박 내에서 “1997년 DJ의 길을 갈 것인지, 2002년 이회창 후보의 길을 갈 것인지 선택해야 할 때가 왔다”는 얘기가 나오기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다. 김대중 후보가 동교동계를 몽땅 2선 후퇴시키고 새로운 사람들을 전면 배치해 승리한 것과, 이회창 후보가 측근들을 똘똘 묶어 패배한 것을 예로 든 것이다.
 “박근혜 후보만 빼고 모두 바꾸자”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당내에서 부정적인 다른 목소리가 나오면 오히려 선거를 망치게 된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의 한 중진의원은 최근 “지금 새누리당 의원(150명)은 `20 대 130’으로 나뉘어 있다”고 했다. “박 후보 옆에서 열심히 뛰는 20명과 `당신들끼리 잘해보라’고 방관하는 나머지 130명으로 분리돼 있다”는 주장이다. 뿐만 아니라 황우여 대표가 이끄는 지도부의 역할도 지리멸렬이다.
 새누리당은 다시 시작해야 한다. `박근혜 후보’만 빼고 전부 바꿔야 한다. 대통령선거가 해군을 `해적’이라고 매도한 `머리끄덩이녀’와 종북 국회의원들, 자기들이 착수한 한·미 FTA 제주해군기지를 짓밟은 세력과의 싸움으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