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宗 이방원과 MB의 리더십
  • 경북도민일보
太宗 이방원과 MB의 리더십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09.0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惡名과 惡業 짊어지는 지도자의 덕목-
 
신 봉 승 (작가)
 
 리더십이라는 단어가 꼭 지도력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 말에는 복잡한 의미가 담겨져 있다. 가령 <영웅이 역사를 만든다>라는 칼라일의 말은 리더십이 난세와 무관하지 않음을 암시하고, 막스 베버의 카리스마(Carisma)론은 <신의 은총>을 조건으로 하고 있다. 우리 역사상 가장 창조적이며 위대했던 시대인 세종시대는 성군 세종대왕의 식견(識見)과 표준(標準)이 조화를 이루었던 찬란하고 아름다운 시대였다. 그러므로 <식견과 표준의 조화>가 세종대왕의 리더십이 된다. 그러나 세종대왕의 그러한 리더십은 아버지 태종(太宗) 이방원이 만들어 준 토대위에서 꽃피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태종 이방원은 빛나는 다음 시대를 열기 위한 일이라면 어떠한 악업(惡業)도 마다하지 않았다. 세자 지위에 있었던 큰 아들 양녕대군을 물리치고, 다섯 째 아들 충녕대군(세종)을 후계자로 발탁한다. 양녕대군을 폐하여 궐 밖으로 내친다. 정의롭고 평화로운 다음 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불굴의 용단이다. 그리고 자신의 뒤를 이어갈 세종시대에 방해가 될 만한 세력들을 찾아서 극형으로 처단한다.
 민무구, 민무질 등 친 처남 네 사람에게 사약을 내려 죽게 한 것은 범인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이 일로 왕비 원경왕후가 분노한다. 그러나 태종은 `폐비’할 것을 입에 담으면서까지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뿐만 아니다. 다음 대의 임금이 될 세종의 장인인 국구(國舅)(나라의 사돈) 심온에게는 스스로 목숨을 끊으라는 왕명을 내려서 죽게 하였고, 자신의 분신과도 같았던 평생의 동지 이숙번까지 귀양 보내면서는 `내가 죽은 지 백년이 넘지 않으면 이숙번에게 도성의 땅을 밟지 못하게 하라.’고 단호하게 명했다.
 이방원은 다음 대의 임금인 세종 치세에 아무 하자가 없을 것이라고 확신이 들었을 때, 임금의 자리에서 물러난다. 춘추 50세, 무엇이 부족해서 물러나는가. 태종은 상왕으로 물러나면서 세종을 불러서 말한다. “천하의 모든 악명(惡名)은 이 아비가 짊어지고 갈 것이니, 주상은 만세에 성군(聖君)의 이름을 남기도록 하라!” 지도자의 자질이 무엇인가를 명쾌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리더십은 이론이 아니라 그대로 실천임을 입증하고 있음이 아니고 무엇인가. 따라서 역대 우리 대통령들의 자질 중에서 무엇이 부족했던 가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국민들의 비난이 두려워서 <쌓여진 적폐>를 해소하는 일에 나서지 않았다면 지도자의 덕목이 부족했다고 비난받아 마땅하다.
 해방직후 우리 정부가 수립되던 때의 혼란과 적폐는 고사하고 라도 박정희 대통령 18년, 전두환 대통령 7년이라는 군부독재의 형식이 무너지면서 노태우 대통령이 직접선거로 대통령에 당선이 된다. 제6공화국의 발족을 꼭 군사정권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워도 전두환 장군의 후계구도였고, 그 또한 12·12, 5·18을 주도한 육군대장이었기에 군복을 입은 대통령 세 사람이 나라를 다스린 기간이 무려 30년이다. 누가 36년 동안의 일제식민지의 기간을 길다고 하는가. 그 후에 있었던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의 대통령이 군림한 기간도 15년이다. 일제의 식민지기간 보다도 무려 10년이 더 기간을 우리는 쌓여 온 적폐를 걷어내는 것은 고사하고, 또 새로운 적폐를 쌓으면서 살아온 셈이다.
 <정경유착>, <부정부패>, <뇌화부동>, <복지부동>, <안일무사> 등 그 기간에 쌓이고 쌓인 적폐가 우리가 가야할 길을 가로막고 있다. 이 적폐를 걷어내지 않고서는 품격 있는 나라를 만들 수 없고, 또 선진국의 대열에 들어설 수도 없다. 그러므로 지금의 대통령은 물론, 나라의 미래를 걱정할 줄 아는 지도자라면 앞으로 등장할 새 대통령이 마음 편하게 일할 수 있는 풍토를 만들 줄 아는 리더십이 있어야 한다. 세간의 모든 악명(惡名)을 홀로 짊어지더라도 다음 대통령의 짐을 덜어주고, 길을 열어주는 대통령이 필요하다. 그것이 나라의 명운을 살필 줄 아는 리더의 덕목이다.  (newdaily.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