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년역사 숭례문 5시간 불길에 전소
  • 경북도민일보
610년역사 숭례문 5시간 불길에 전소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08.0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족의 자존심 무너졌다’전 국민 허탈
방화 추정…안일한 대처가 禍 키웠다
 
 화마(火魔)의 무서운 기세에 국보 1호 숭례문(崇禮門·남대문)이 힘없이 무너져 내렸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수차례의 전란을 견뎌온 성문이 한순간의 화재에 무릎을 꿇은 것이다.
 관악산의 화기(火氣)를 누르기 위해 양녕대군이 세로로 썼다고 전해지는 숭례문의 현판도, 화재 등 재난을 막아준다는 장식물 치미(망새)도 화재 피해를 막아내지 못했다.
 10일 오후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붕괴된 숭례문은 현재 서울에 남아있는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지난 1962년 12월 국보 1호로 지정된 명실상부한 국내 대표 문화재로 현존하는 한국 성문 건물로서는 가장 규모가 큰 것이기도 하다.
 숭례문은 조선왕조가 한양 천도 후인 1395년(태조4년)에 한성 남쪽의 목멱산(木覓山.남산)의 성곽과 만나는 곳에 짓기 시작해 1398년(태조7년)에 완성됐으며 이후 600여년 동안 몇 차례의 보수를 거쳐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1447년(세종29년)에 고쳐 지은 것인데 1960년대 초반 해체, 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발견된 상량문(上樑文)을 통해 1479년(성종10년)에도 한 차례의 대규모 보수 공사가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1961~1963년의 대규모 해체, 보수공사를 한 후에는 몇차례의 소규모 정비 공사만이 진행됐다.
 1960년대 공사 당시에 제거했던 옛 목부재와 기와 등 350여점은 숭례문 내에서 보관하다가 2005년 한국전통문화학교 부재보관소로 옮겨 다행히 이번 화재 피해를 피해갔다.
 숭례문은 1907년 일제가 연결된 성곽을 허물고 도로를 내면서 대로에 둘러싸여 섬처럼 고립돼 있다가 2005년 5월 숭례문 주변에 광장이 조성되고, 2006년 3월에는 100년 만에 중앙 출입문인 홍예문이 개방되면서 일반인들의 접근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600년을 지켜온 숭례문에 큰 화재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지난 1984년 보물 163호였던 쌍봉사 대웅전이 불 타고 2005년 산불로 보물 479호인 낙산사 동종이 소실되는 등 화재로 인한 문화재 피해 사례는 몇차례 있었지만 국보급 건축물이 화재로 전소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이처럼 국보 1호가 화재로 사라지는 믿기 힘든 일이 벌어지면서 목조 문화재의 취약한 방재 관리도 다시 도마에 오를 수 밖에 없게 됐다.
 실제로 숭례문에는 소화기 8대가 1,2층에 나뉘어 비치되고, 상수도 소화전이 설치된 것이 소방시설의 전부이며 감지기 등 화재 경보설비나 스프링클러 등은 설치돼있지 않았다. 또 홍예문이 개방되는 오전 10시에서 오후 8시 사이에 평일 3명, 휴일 1명의 직원이 상주하며 관리하지만 그 이후에는 사설경비업체의 무인경비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날과 같이 홍예문 폐쇄 시간에 발생한 화재 상황에 대해서는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특히 숭례문은 야간 조명시설이 설치돼 있어 누전 등 전기 사고의 가능성이 있는 데다 일반인들의 접근이 쉬워 방화 위험도 비교적 큰 편이다. 문화재청은 2005년 4월 낙산사 화재 이후 중요 목조문화재가 산불 등으로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중요 목조문화재 방재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 1차로 해인사, 봉정사, 무위사, 낙산사 등 4곳에 수막설비, 경보시설 등을 설치했다.
 숭례문도 우선 구축대상인 중요 목조문화재 124개에 포함돼 있으나 아직까지 방재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에는 숭례문 지붕 위에 있는 작은 흙 인형인 잡상(雜像.어처구니) 중 하나가 훼손된 채 수개월째 방치돼 관리체계에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이번에 붕괴된 숭례문이 다시 제 모습을 찾기까지는 최소 2~3년의 기간과 200억원 가량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화재청은 2006년 제작된 정밀 실측도면을 기본으로 하고 1960년대 발간된 수리 보고서를 참고로 숭례문을 최대한 원형대로 복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미 원형을 잃어버린 숭례문을 다시 짓는 일은 `복원’이 아니라 모양만비슷하게 해놓는 `재현’이라는 점에서 2~3년 뒤 숭례문이 다시 세워진다고 해도 국보 1호라는 타이틀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시된다.  보물 163호였던 쌍봉사 대웅전과 보물 479호였던 낙산사 동종의 경우 1984년과 2005년 화재로 소실됐다 같은 모양으로 복원되기는 했지만 이후 보물 지정이 해제된사례가 있다.
 또 문화재청이 현재 문화재 등급체계 개선을 추진하면서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국보와 보물의 일련번호가 없어지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국보 1호’ 숭례문은 이번 화마와 함께 국민들에게 정서적 상처만 남긴채 영원히 사라지게 됐다. 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