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이 피었습니다
  • 정재모
연꽃이 피었습니다
  • 정재모
  • 승인 2014.0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북도민일보 = 정재모]  `연꽃은 진흙에서 나왔으나 더럽혀지지 아니하고, 맑은 물 잔물결에 씻겼으나 요염하지 않다. 속은 비었으되 밖은 곧으며, 덩굴 뻗지 아니하고 가지도 없다.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다. 우뚝하게 서 있어 멀리서만 볼 수 있고 가까이에서 매만지며 구경할 수 없음을 오로지 나는 사랑한다. ……꽃 중의 군자로구나.’ 북송의 철학자 주돈이(1017~1073)는 명문장 애련설(愛蓮說)에서 연꽃을 사랑할만한 포인트 몇 가지를 이처럼 명료하게 서술했다.
 불교에서 연꽃을 각별히 신성하게 보는 데는 사상적 사유(思惟) 두 가지가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하나는 석가모니의 설법에 `연잎은 물이 배 드는 것을 허락하지 않듯이 인간이 탐욕에 물들어서는 안 된다’고 설파한 것이 불교와 연이 연결되는 원점(原點)이라는 것이다. 또 보통의 식물과 달리 연은 꽃과 열매가 거의 동시에 생겨나는데(꽃이 필 때 연밥도 생김) 이는 모든 중생이 태어나면서 동시에 불성을 지니고 있어 성불할 수 있다는 사상에 비유할 수 있다는 거다.(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3’)

 어쨌거나 연은 사람들을 끌어당긴다. 중국에서는 수·당(隋唐) 시대부터 연꽃이 만개하는 철에 `관연절’(觀蓮節 음력 6월 24일)을 정해 특별히 연꽃 구경에 나섰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연꽃 애호도 중국 못지않았다. 자연호수가 많지 않은 강토에서 연꽃을 완상하기 위해 애써 곳곳에다 연못을 조성했다고 한다. 그 덕에 우리나라 방방곡곡에는 연꽃을 구경할만한 곳이 지금도 흔하디흔하다. 특히 경북은 연꽃을 볼만한 데가 유난히 많다. 상주 공갈못, 경주 안압지, 양동마을연못, 구미 금호연지 등등….
 바야흐로 연꽃이 제철이다. 복더위가 시작되는 이즈음 사방의 연못에서는 큼직한 연분홍 꽃봉오리가 그윽한 향기를 머금고 다투어 기품 있게  피어오르고 있다. 초복 더위의 기승과 함께 때마침 모레 일요일은 옛사람들이 연꽃 즐기는 날로 삼았다는 관연절이다. 더위도 식힐 겸 처염상정(處染常淨; 진흙 속에서도 언제나 깨끗함)의 고결한 기분에도 젖어 볼 겸 이번 주말엔 아이들 손잡고 아침나절 맑은 공기 쐬며 야외 연꽃 구경 한 번 나가는 것도 운치 있는 일이지 싶다. 혹시 자신의 내면 저 깊숙이 도사리고 있을지도 모를 불성(佛性)이라도 가외로 보게 될지 누가 아는가!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편집인 : 모용복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