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민 모두가 찬성한 ‘포스코 火電’ 서명
  • 김호수
포항시민 모두가 찬성한 ‘포스코 火電’ 서명
  • 김호수
  • 승인 2015.09.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 포스코의 청정火電설비를 시민은 믿고 있다

김호수 편집국장님
[경북도민일보 = 김호수]  포스코 포항제철소에 청정 화력발전소를 짓게 하자는 서명운동에 포항시민 32만8000여 명이 뜻을 같이했다.
 당초 목표는 10만명 서명이었다. 서명운동 첫날부터 3만명이 넘는 시민이 참여했다.
 출발이 상큼하더니 그 결말 또한 대박이다. 서명 참여자가 33만명에 육박했다는 것은 예삿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어림셈을 해도 목표의 세 갑절이 넘는다.
 포항시민 모두가 찬성한 셈이다. 포항의 대부분  가정이 서명에 참여한 것과 다름없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만 같다. ‘뭉치는 힘’을 느끼게 한다.
 서명운동 현장에서는 기다란 줄이 이어졌다. 서명 차례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자연스레 형성된 대기행렬이었다.
 과연 무엇이 이 많은 시민들을 줄 세워 기다리게 할 수 있었던 걸까? 그것은 한마디로 ‘염원’의 힘이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포항경제가 살아서 꿀렁거려야 한다는 염원이 서명으로 나타난 것이라는 소리다. 서명엔 노동단체들이 참여했고 포항제철소에 가까운 동민들도 행보를 같이 했다.
 종래의 틀에서 보면 가장 먼저 반기를 들었을 법한 시민들이 찬성 대열에  선 것 하나만으로 모든 상황은 정리된다 할 수 있다.
 그만큼 지금 포항 지역경제는 가라앉아있다. 건설 근로자들에겐 일자리가 아쉽고 소시민들에겐 포스코 제복을 입은 손님들의 출현이 그리울 지경이다. 오죽하면 기업의 근무 형태에까지 시민들이 관심을 쏟을 것인가. 포스코의 경영이 어려워지니 포항 지역경제 또한 신통치 않아지게 마련이라는 반증이다.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화전(火電)설비를 갖추는데 들어가는 돈은 1조원이 넘는다. 그 돈은 포스코가 2022년에 한전에 내야하는 전기료로 추정된다.
 현재 7000억원 쯤되는 전기료가 해마다 7% 정도 오른다고 치면 앞으로 7년 뒤엔 발전소 하나를 지을 돈이 된다는 계산이다.
 제아무리 주판을 두드려가며 머리를 굴려봐도 전기료 내고나면 남는 게 별로 없을 조짐이다. 임직원들이 땀흘려 일해본들 ‘헛장사’가 되고만다는 상황은 상상만해도 허망하다. 그러니 전기료를 감당할 대책은 숫제 발전소를 짓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란 계산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환경오염이다. 이는 정부 뿐만 아니라 포항시민의 생활환경에도 직결되는 문제다. 포항제철소가 청정 화력발전을 내건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 철강공단에서 뿜어내고 있는 오염물질의 총량보다 훨씬 낮은 오염 수준을 지킬 수 있다는 논리다.
 포항시민들이 마음을 열고 서명 대열로 걸음을 옮긴 것도 이 논리에 공감했기 때문 일 게다. 현재 가동하고 있는 일부 공장을 폐쇄하고 환경오염 방지 시설도 더 보강하겠다는 다짐을 신뢰한 결과다.
 포항시민의 포스코 신뢰감은 하루 이틀에 형성된 게 아님을 생각하면 다른 지역에서는 보기 힘든 유대감이 배어나온다.
 이런 관계를 감안하면 포스코가 앞으로 화전설비 도입이 성사되면 환경개선에 더욱 힘을 쏟아부을 것임은 믿어도 될 일이다.
 포항 시민이 하나로 뭉친 힘은 충분히 보여줬다. 이제 남은 일은 화력발전 설비를 성사시키는 과정이다. 이 짐은 더욱 무겁다. 그러니 포항의 유력 지도층이 짊어져야 한다. 서명운동을 주도한 포항의 상공인들은 말할 것도 없다.
 지역의 일꾼이 되겠다고 자청하고 나선 사람이라면 누구를 가릴 것도  없다. 이들에겐 33만 시민의  서명정신이 현실로 나타나도록 두팔 걷고 나서야 할 책무가 있다고 본다.
 정부 관계자들이 관계 법규를 틀어쥐고 화전설비에 난색을 보이고는 있다하나  길이 아주 막혀있는 것은 아니다. 예외 규정이 엄연히 살아있지 않은가. 이 예외규정의 적용이야말로 설득의 주안점이 되어야 하리라는 생각이다.
  포항시민의 염원이 표명된 서명부의 정신이 이른 시일 안에 열매를 맺게 되기를 기다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