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복판의 애물단지
  • 김용언
길복판의 애물단지
  • 김용언
  • 승인 2012.0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길목’은 큰 길에서 좁은 길로 들어가는 어귀라고 국어사전에 풀이돼 있다. `길의 중요한 통로가 되는 곳’이란 풀이도 또한 따른다. 경북이 낳은 글쟁이 김주영의 역작인 `객주(客主)’에  길목이 나온다. “방텃골 세거리는 황산리로 빠지는 샛길과 유천땅 가랏골로 나가는 길, 점촌으로 빠지는 세 길이 서로 만나는 길목이었으므로 무시날에도 길섶 주막들이 부산하였다.”
 이런 길목의 한복판에 대형기둥이 버티고 서있다면 지나다니는 사람마다 투덜거리기 십상이다. 가정이긴 했지만 실제로 그런 곳이 있다. 상주시 서곡1·2동이 바로 그런 곳이다. 마을 진입로를 넓히면서 길 한복판에 농수로관을 떠받치는 기둥이 버티고 있고 그 위로는 농수로관이 가로지른다. 농수로관 높이는 3.4m에 지나지 않는다. 불이 나도 소방차량이 지날 수가 없어 눈앞에서 집이 홀랑 타버리는 광경을 넋 놓고 바라볼 수밖에 없다. 이삿짐을 나르려 해도 작은 차를 불러 두 번 일을 해야 한다. 한마디로 애물단지다.

 상주시는 이런 사정을 뻔히 내다보면서도 공사를 밀어붙이고 있다. 농수로관 담당인 한국농어촌공사 상주지사와는 한마디 상의도 없었음이 드러났다고 한다. 탁상행정이 무엇인지 그 실체를 보여주는 사례인 셈이다. 참다못한 주민들은 진정서를 내고 말았다. 상주시는 문제점을 알면서도 공사를 밀어붙이고 있고 농어촌공사는 “알지 못했다”고 한다나 보다.
 상주시와 한국농어촌공사 상주지사 모두 문제점을 인식은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면서도 당장 손쓸수가 없다는 소리를 하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연구·검토 하겠다”고 했다. 상주시는 “농수로관로를 지하매 설할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하겠다”고 했다. 결국 사업비 1억5000만 원으로는 태부족이게 생겼다. 여기에도 `+알파’가 필요하게 생겼다. 탁상행정의 폐해가 이렇다.  김용언 /언론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편집인 : 모용복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