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사냥
  • 경북도민일보
고래사냥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08.0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경(捕鯨)선원이 고래와 바다코끼리를 가려내지 못한다면? 요즘 세상에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당장 코미디거리가 될 판이다. 그런데 옛날에는 실제로 그런 일이 있었던 모양이다.`모비딕’을 입에 올리면 금세 떠오르는 사람이 허먼 멜빌이다. 고래잡이 경력도 가졌던 사람이다. 그 허먼 멜빌이 쓴 소설 `레드번’에 바다코끼리떼를 보고 고래라고 경탄하는 뱃사람의 무지를 일깨우는 고참선원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소설이야 어찌됐건 고래사냥이 생업인 `꾼’들은 경험을 통해 고래를 철저히 알아갔다. 상대해선 안될 고래종류도, 고래의 가족관계까지도 줄줄이 꿸 정도로 실력을 갖췄다. 때문에 고래 일가족을 몽땅 잡으려면 새끼-어미-아비고래 순서로 작살을 던졌다. 그런가 하면 영국인들이 `살인고래’라고 부른 범고래는 작살맞은 동료를 위해 떼를 지어 앙갚음에 나서는 단결력이 있어 기피대상 1호로 꼽혔다. 오늘날의 `고래학’은 이런 저런 경험이 쌓이고 쌓인 결과물이다.
 고래사냥의 빌미는 고래 스스로 제공했다는 주장도 있다. 원인이 무엇이든 자살을 감행해 해안에 떠밀려온 고래는 선사시대 사람들에게도 쓸모가 많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먹을거리가 된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뼈는 썰매, 배, 움막을 짓는 원자재로 훌륭했다. 게다가 가죽과 수염은 올가미 감으로 안성맞춤이었다. 기름은 난방과 조명에 `딱’이었다.
 대양(大洋)의 고래사냥은 9세기초 바스크 사람들이 시작했다고 한다. 이 고래사냥 `원조’들의 활약이 프랑스, 스페인 해안에  고래상점을 등장시켰다는 이야기다. 당연히 고래에서 나온 산물이 거래상품이었다. 고래 혓바닥은 도시인들의 인기식품이었다고 전해진다.
 불법 포획한 밍크고래 고기 300여상자를 포항시 흥해읍 흥한리 냉동창고에 보관해오던 업자가 덜미를 잡혔다.어찌 이뿐이랴. 고래고기 음식접에 공급되는 물량이 모두 혼획 또는 좌초된 것들이라고 믿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김용언/언론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