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피하고 모르면 당한다
  • 경북도민일보
알면 피하고 모르면 당한다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09.0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날로 지능화되는`전화금융사기’
 
   경찰청 자료에 의하면 올해 들어 3월까지 전화금융사기 건수는 2908건, 금액은 273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각각 78%, 70% 급증해 전화금융사기로 인한 하루 피해액이 3억 원에 달하는 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최근 급증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를 막기 위한 전방위 대책에 고심하고 있다.
 
    개인정보 상세히 파악한 사기수법 지능화…피해 급증
   금감원,외국인정보인증시스템·의심계좌 점검 등 나서
   금융·신상자료 요구,현금인출기 유도하면 의심해봐야

 
     
 
 
 #금감원 전화사기 의심계좌 일체점검
 과거 전화를 이용한 금융사기는 환급금 지급 등 금전적인 이득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장했으나 최근에는 경찰, 검찰, 우체국, 전화국, 금감원, 국세청 등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해 개인정보 유출에 다른 계좌보호조치 등 금전적 손실예방을 위한 것으로 유인하는 등 수법이 점차 지능화되고 있다.
 금감원은 전화금융사기범들이 외국인이나 타인 통장을 매입해 범죄에 이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외국인 통장 개설시 은행이 법무부의 `외국인정보인증시스템’에 온라인으로 접속해 신분증 진위 여부를 확인토록 하는 한편, 노숙자나 대학생이 개설한 통장을 타인에게 불법 양도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는 내용의 문구를 예금통장에 기재하도록 했다.
 금융당국과 국내 은행이 소액 입출금이 빈번한 계좌 등 전화금융사기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계좌에 대한 일제 단속에 나서 하나·신한·대구·부산·광주·제주·전북·경남·산업·농협·수협 등 11개 은행에서 15일부터 이틀간 의심계좌 55개를 점검해 20개 사기계좌를 적발했다. 이들 계좌에 사기 피해자가 입금한 금액은 9800만 원이었다.
 이번 전화금융사기 의심계좌 일제 단속은 무기한으로 진행되며 우리·SC제일·외환·씨티·국민·기업 등 나머지 6개 은행 역시 늦어도 다음 주부터 의심계좌 단속에 동참할 예정이며,  최근 1년간 자동이체 실적이 없는 은행계좌에 대해 이체한도를 대폭 축소하는 조치도 취했다.
 1회 이체한도를 600만 원에서 70만 원, 1일 이체한도도 3000만 원에서 70만 원으로 각각 줄이기로 했다. 또한 금융감독원은 18일 국내 은행들과 함께 전화금융사기 의심계좌를 일제 점검하고 있다며 점검대상 계좌의 거래내역을 확인하고 사기혐의 계좌로 드러나면 지급정지 조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화금융사기 지능화에 피해급증
 포항에 거주하는 이모씨는 최근 신용카드로 결제한 156만 원이 연체됐다며 상담을 원하면 9번을 누르라는 A은행 고객센터를 사칭한 전화를 받았다. 9번을 누르자 여직원이 전화를 받아 B백화점에서 노트북 구입대금으로 결제한 156만 원을 입금하라고 요구했다.
 카드 사용사실이 없다고 대답하자 누군가 명의를 도용해 카드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경찰에 신고해주겠다고 한 뒤 전화를 끊었다. 잠시 후 경찰 수사관을 사칭한 남자가 전화로 신분을 확인하겠다며 이름, 주민번호, 휴대전화번호 등을 물어본 뒤 수사가 시작됐고 곧 금감원에서 예금보호를 위해 전화할 것이라며 전화를 다시 끊었다. 금감원 직원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남자가 다시 전화해 계좌의 예금이 인출될 수 있어 보안코드를 설정해야 한다며 현금지급기 조작을 유인해 수백만 원의 자금을 이체하게 했다. 이렇게 전화를 이용한 금융사기가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다. 개인정보를 구체적으로 파악한 정교한 범죄 시나리오에 속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하는 피해자들도 늘고 있다.
 서울에 거주하는 김모씨는 국세청 징수과라며 과납 세금 46만 원을 환급해주겠다는 전화를 받았다. 국세청 직원으로 속인 남자가 이름과 주민번호를 물어보고 환급서류를 작성해 정산과에 통보한 뒤 다시 연락하겠다며 휴대전화 번호를 물어보고 끊는다. 이번에는 정산과 직원이 휴대전화로 연락해 자주 이용하는 은행카드나 통장을 휴대하고 가까운 현금자동인출기로 가서 환급을 받으라고 한다. 현금지급기로 간 김씨가 다시 전화를 걸자 입금받을 은행 카드를 넣으라고 한 뒤 환급 인증 절차를 빙자해 자금을 이체하게 했다.
 또 자녀 납치를 빙자해 거액의 송금을 요구하는 사기범들도 있다. 사기범들은 우선 자녀의 휴대전화 번호와 집 전화번호를 파악한 뒤 자녀에게 휴대전화로 계속 전화해 욕을 하는 등 귀찮게 해 전화를 끄게 한다. 이후 집으로 전화해 당신 자녀와 친구를 납치했는데 친구는 돈을 줘서 풀어줬으니 3000만 원을 입금하라고 협박한다. 간혹 때리는 소리와 아이들 울음소리를 옆에서 내면서 공포분위기를 조성하는 등 사기수범이 점차 지능화되어 가고 있다.
 
 #전화금융사기 대처요령은?
 금감원과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주요 수법으로`우체국’을 사칭, 택배가 반송되었다며 개인정보유출 빙자, 현금지급기 조작을 유도하거나 `국민연금공단·건강보험공단’을 사칭, 연금·보험료·세금을 돌려준다며 현금지급기 조작을 유도하는 경우가 빈번하다며 현금자동지급기로 가라고 하면 100% 전화사기로 보면 된다고 밝혔다. 
 `자녀 등 가족을 납치’ 했다고 협박해 계좌이체를 지시하는 전화금융사기의 경우 신속히 경찰(112)에 신고하고 위치와 안전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발신자 표시금지나 001, 002, 005, 006, 008, 00755, 030, 086, 070 등 처음 보는 국제전화번호가 뜨면 일단의심하고 녹음된 목소리로 시작하는 전화는 무차별적인 전화금융사기일 가능성이 큰 만큼 끊어버리는 것이 좋다고 금감원은 조언했다.
 만약 사기범에게 당해 돈을 송금했더라도 10~15분 내에 해당은행 콜센터나 지점에 연락하면 돈을 빼가기 전에 지급정지를 시킬 수 있으며, 지급정지 요청 후 바로 경찰(112)에 신고하는 등 피해 방지를 위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했다.
 금감원은 수사기관에선 전화로 개인의 금융정보나 신상자료를 요구하지 않으며 현금인출기를 이용해 세금이나 보험금, 국민연금을 환급하는 사례도 없다며 주의를 당부했으며 전화금융사기 사전차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차영조기자 cyj@hidomin.com
 

 
    대구경찰청-대구銀-금감원

   `전화금융사기 근절 업무협약’체결
 
 대구지방경찰청과 대구은행, 금융감독원 대구지원은 `전화금융사기 근절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역 전화금융사기 피해 예방에 나섰다.
 협약에 따라 대구시내에 가동 중인 3000여대의 CD(현금자동지급기) 또는 ATM(현금자동입출금)기기 가운데 절반가량을 보유한 대구은행은 시내 170여개 지점에 근무 중인 청원경찰이나 인턴사원을 이용, 전화통화를 하면서 기기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전화금융사기에 관한 주의를 촉구하게 된다.
 청원경찰이나 인턴사원들은 전화금융사기 수법을 알리는 홍보물을 현장에서 배포하는 한편 행여 현재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지 여부를 집중 관찰, 이상 징후가 있을 경우 즉각 조치한다.
 실제로 지난 4~5월 대구시내에서 발생한 102건의 전화금융사기 송금 사건 가운데 82%가량이 대구은행과 시중은행을 포함한 금융기관 내에 설치된 CDㆍATM기기에서 발생했고 피해자들은 예외없이 휴대전화 통화를 하면서 예금을 송금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찰은 송금 단계에서 자금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판단에 따라 이 같은 협약을 체결키로 한 것.
 이에따라 경찰은 대구은행 직원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관련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매주 전화금융사기 발생 지점을 분석, 궁극적으로는 전화금융 사기단 검거에도 주력하게 된다.
 경찰은 이날 협약에 이어 금융감독원측과도 협의해 대구시내에서 지점을 운영 중인 나머지 시중은행들과도 조만간 협약을 체결, 적어도 대구시내 금융기관 내 지점에서의 송금만은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